클린턴 ‘南 납치자 언급’ 대상은 유모 씨와 연안호 선원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4일 북한을 방문해 한국인 납치자 문제를 언급한 것은 130일째 억류중인 개성공단 직원 유모씨와 연안호 선원을 지목한 것이었다고 외교통상부가 6일 밝혔다.

문태영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서울 도렴동 정부중앙청사 별관에 가진 정례브리핑에서 “클린턴 전 대통령이 인도적 견지에서 북측에 억류된 우리 근로자와 연안호 선원이 석방돼야 한다는 점을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문 대변인은 이에 대한 북측의 반응에 대해서는 “전해들은 바가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가와무라 다케오(河村建夫) 일본 관방장관은 이날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회담을 하면서 ‘일본인 납치 문제가 진전돼야 한다’면서 북일 간 합의한 납치피해자 재조사위원회를 조기에 발족시켜야 한다고 말했다는 설명을 미국 고위 관리로부터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김정일은 납치 문제에 대한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는 않았고, 핵 문제나 6자회담에 대한 논의도 없었다”고 말해 남측 납북자 문제에 대해서도 특별한 반응이 없었던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변인은 이어 “우리 국민과 어선 문제에서 조속한 진전이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또, 클린턴 전 대통령의 한국 납북자 문제 거론이 우리 정부의 요청에 따른 것이냐는 질문에는 “클린턴 전 대통령이 (북한에) 갈 때 이 문제에 대해서 충분히 숙지하고 갔다”고만 언급했다.

한편, 북한은 지난달 30일 예인된 이후 8일째를 맞고 있는 연안호에 대해 “현재 조사 중에 있다”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천해성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오전 9시 30분 해사당국간 통신에서도 우리측은 우리 선박에 대해서 추가된 사항이 있는지 확인을 했고, 이에 대해서 북한 측은 오늘도 조사 중에 있다고만 답변을 했다”고 밝혔다.

천 대변인은 전날 민주당 이강래 원내대표가 최고위원회에서 밝힌 대북특사 파견 주장에 대해 “특사파견 등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현재 검토하고 있는 것이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