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는 25일 “쌀 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인도적 대북지원을 재개해야 한다”는 강기갑 민주노동당 의원의 지적에 “쌀 수급 문제와 대북 쌀 지원 문제는 별개문제라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김 후보자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이같이 말한 뒤, “지금 남북간의 경색국면 상황 자체가 북에서 스스로 자처한 것이고 천안함 사건을 비롯한 관련 사안에 대해 최소한의 사과와 태도 변화가 전제돼야 한다”고 대북 쌀지원 재개를 위한 조건으로 북한의 행동변화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장기적으로 남북간 상황의 진전 등을 통해 이같은 문제를 해결해 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강 의원은 “오히려 이럴수록 인도적지원을 통해 경색된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며 “김대중 노무현 정부때도 연평해전과 핵실험이라는 악재가 있었지만 화해공존과 10.4 선언이라는 성과를 얻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자 김 후보자는 “지난 정부의 긍정적 면도 있지만 지난 정부의 태도에 문제도 있다”면서 “단호하게 그런 문제가 있으면 그 문제를 매듭짓고, 아픔이 있더라도 새로운 태도변화를 가져오는 정책이 장기적으로 평화를 위해 옳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지속적으로 남북교류를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북한이 고마움을 알아야지 거꾸로 천안함 사건을 일으키고 우리 장병 46명이 죽였는데 어떻게 태도의 변화나 사과 없이 넘어갈 수 있느냐”라고 반문했다.
김 후보자는 “이 부분에 있어서는 분명한 태도를 보여야한다”며 천안함 사건에 대한 대북 대응조치의 당위성을 강변했다.
그러자 강 의원은 “천안함에 대해서는 아직 논의를 더 해야 한다”면서 “이웃이 원수같이 싸워도 한 쪽이 굶주릴 때는 죽 한 그릇으로 풀리는 경우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김 후보자는 “국제적인 전문가들이 천안함 사건을 북한의 행위로 결론 냈는데 이를 못 믿는 것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서 “우리나라에서 천안함 사건 이후 대북 결의안에 대해 통일된 안이 나오지 않는 것을 국민들은 이해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북한 동포에 대해서는 나도 마음 아프다”며 “그러나 이번 기회에 북한도 도와달라는 얘기 있어야 하는데, 모든 것을 차단하고 칼을 들이대고 사과도 없이 어떤 지원이 있겠나”라며 현 국면에서의 대북 쌀지원에 재차 부정적 입장을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