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전단 관련 탈북민 성토대회 이후 북중 국경지역에서는 강도 높은 검열 통제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외부와 통화를 하려는 주민들과 이를 차단하려는 일종의 정보전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고 소식통이 알려왔다.
내부 소식통은 20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함경북도와 양강도, 평안북도 지역에서 요즘 국경 경비가 강화되고 있고 감청과 도청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면서 “탈북자 삐라 사건으로 전국에서 성토대회가 있은 후 국경은 하루도 편할 날이 없을 정도로 검열이 심하다”고 전했다.
양강도 소식통은 “엊그제도 한 광산 노동자와 화학공장 노동자 등 4명이 손전화(휴대전화) 통화 건으로 잡혀 들어갔다”면서 “통화 현장에서 잡힌 이 주민들은 어떠한 수도 부리지 못하고 바로 험한 일을 당한 것”이라고 말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과 한국 등 국제통화를 하는 주민들이 감청에 걸리지 않으려고 국경과 인접한 야산에서 통화한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는 당국이 자정에도 주민거주 지역으로 통하는 길목을 순찰하고 있다.
소식통은 “안전원들은 이른 아침이나 깊은 밤에 마을 어구에 잠복해있거나 수시로 순찰을 하고 있다”면서 “특히 감시대상으로 등록이 되어 있는 주민들의 이동에 대해서는 교대로 감시할 정도여서 요즘은 (국제)전화 통화가 하늘의 별따기만큼 힘들다”고 말했다.
아울러 북한 당국이 국경통제를 강화하면서 처벌 강도도 지난 몇 년 전에 비해 세지고 있는 모양새다. 일반 밀수건으로 통화를 한 대상은 단련대 1개월 혹은 3개월, 한국과 연관된 사건들은 최소 단련대 6개월 형이 적용되고, 심할 경우 교화소 5년형 처벌이 내려지고 있다고 소식통은 말했다.
특히 특별 감시 대상은 북한 휴대전화를 사용하다가도 도청이나 불시 검열에 걸린다고 한다. 평양이나 아리랑 타치폰(스마트폰)이 중국산과 유사하다는 이유로 대담하게 길을 가면서도 통화를 하는 사례가 있다는 판단이다.
이밖에 일종의 ‘뇌물’이 통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그는 “지방의 법관들은 돈이 나올 데가 없어 뇌물로 살아가는데 올해는 중앙 검열이 이어지면서 돈을 만지기사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