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1일 노동신문을 통해 ‘우리의 전진은 줄기차고 억세다’라는 제목의 장문의 ‘정론’을 게재했다. ‘정론’이란 북한이 최고지도자의 의도와 정책을 주민들에게 설파하기 위해 쓰는 권위있는 글이다.
북한은 이 글에서 대북제재로 엄청난 고통을 겪고 있음을 다음과 시인했다.
“전후 잿더미도 헤치고 고난의 행군도 해보았지만 현세기의 10년대에 우리(북한)가 겪은 난관은 사실상 공화국의 역사에서 가장 엄혹한 시련이라고 말할 수 있다.”
현세기의 10년대, 즉 2010년대에 북한이 겪은 난관이 북한 역사에서 가장 엄혹한 시련이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북한은 이 시련을 강조하면서 비교대상으로 전후복구 시기와 고난의 행군 시기를 꺼내들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1950년대 한국전쟁 이후 복구 시기와 1990년대 중반 수 백만이 굶어죽었다는 ‘고난의 행군’ 시기를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 역사에서 등장하는 ‘고난의 행군’
이해를 돕기 위해 북한 역사에서 등장하는 ‘고난의 행군’에 대해 잠시 살펴보기로 하겠다. 북한은 지금까지 세 차례의 ‘고난의 행군’ 시기가 있었다고 말한다. 첫 번째는 1938년 12월부터 1939년 1월까지의 시기로 김일성이 이끄는 항일 빨치산 부대가 일본군의 추격을 뿌리치고 감행한 행군을 말한다. 이 시기 김일성 부대는 영하 40도를 넘나드는 모진 추위와 가슴까지 차오르는 눈길, 식량난을 겪으면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이며 행군해야 했다.
북한에서 두 번째로 ‘고난의 행군’이라는 구호가 등장한 것은 1950년대 한국전쟁 이후의 시기이다. 전쟁으로 거의 모든 것이 파괴된 상황에서 복구에 나서야 했던 힘든 시기를 북한은 ‘고난의 행군’이라 지칭했다. 세 번째 ‘고난의 행군’이라는 말이 등장한 것은 1994년 김일성 사망 이후부터 1997년말까지이다. 동구 사회주의권 붕괴와 대외적 고립, 극심한 경제침체와 연이은 수해로 수 백만이 굶어죽었다는 얘기가 나왔던 시기이다.
노동신문이 말하고자 하는 핵심은
다시 노동신문 기사로 돌아가면, 북한이 최근의 시련을 강조하기 위해 비교대상으로 꺼내든 사례는 모두 역대의 ‘고난의 행군’이다.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시기를 제외한 나머지 두 사례, 북한 정권 건립 이후 있었던 두 차례의 ‘고난의 행군’을 최근의 제재로 인한 어려움과 대비시킨 것이다.
북한이 느끼는 제재에 대한 압박감이 이 정도인가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정작 노동신문이 말하고자 하는 핵심은 그게 아니다. 북한은 노동신문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굶어죽고 얼어죽을지언정 버릴 수 없는 것이 민족자존이다.”
“자존은 어렵고 힘겨운 것이지만 국력을 장성강화시키는 보약과 같다. (외세) 의존은 쉽고 일시적인 향락도 누릴 수 있지만 인민을 무기력하게 만들고 국력을 쇠퇴몰락시키는 사약과 같다.”
북미협상 결렬로 제재완화가 힘들어졌지만 굶어죽더라도 미국의 압박에 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강조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계속 강조되는 자력갱생의 맥락이다.
‘굶어죽어도 자존’이 아니라 굶어죽지 않을 방안 찾아야
북한 최고지도부가 하노이 결렬 이후 어떤 결정을 했는지는 아직 명확하게 드러난 것이 없다. 노동신문의 이같은 글도 북미 협상의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일단 주민들의 사상을 다잡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도에서 비롯됐을 것이다.
하지만, ‘고난의 행군’보다 더 어려운 시기를 거론하며 굶어죽어도 자존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하는 모습은 북한이 다시 과거로의 회귀를 생각하고 있는게 아닌가 하는 우려를 갖게 만든다. 지금 북한이 추구해야 할 방향은 굶어죽어도 자존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주민들이 굶어죽지 않도록 할 방안을 찾는 것이다.
*외부 필자의 칼럼은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