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은 23일 판문점 우리측 지역인 평화의 집에서 북한군의 포격도발로 조성된 군사적 위기 상황을 해소하기 위한 고위급접촉을 재개할 예정이다.
남북은 전날 오후 6시30분부터 이날 새벽 4시15분까지 10여 시간 동안 마라톤협상을 벌였지만 합의점을 이루지 못해 접촉을 이날 오후 3시 다시 갖기로 했다.
재개될 접촉에도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홍용표 통일부장관이, 북측에서는 군내 서열 1위인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대남당당 당비서 겸 통일전선부장이 대표로 나선다.
청와대 민경욱 대변인은 이날 새벽 긴급브리핑을 통해 “오늘 오후 3시부터 다시 접촉을 재개하기로 했다”면서 “상호 입장의 차이에 대해 계속 조율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남북은 10시간에 가까운 협상을 벌였음에도 구체적인 합의를 이루지 못해, 이번 군사적 대치 상황의 해법에 대한 남북 간 상당한 의견차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도발을 부인하고 있는 북측은 대북확성기 중단을 강하게 요구했을 반면, 우리측은 지뢰도발에 대한 해명과 책임자 처벌을 주문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우리측은 북한의 지뢰도발로 인해 이번 군사적 위기 상황이 초래된 만큼, 이를 해소하기 위한 북측의 책임 있는 조치를 주문한 것으로 관측된다. 때문에 일각에선 북측이 전향적인 태도 변화를 보이기 않고선 우리측의 확성기 중단 등 북측의 요구를 받아드리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북측은 이미 남북 고위급접촉 이전부터 지난 4일 비무장지대(DMZ) 내에서 발생한 지뢰도발과 20일 DMZ 일대에서의 포격도발에 대해 “남측의 조작”이라며 전면 부인해왔다.
협상 의제에 대해 민 대변인은 “최근 조성된 사태의 해결 방안과 앞으로의 남북관계 발전 방안에 대해 폭넓게 협의했다”고 전했다.
양측은 이번 협상 과정에서 서울과 평양으로부터 훈령을 받으면서 수차례 정회를 하고 때로는 수석대표끼리 일대일 접촉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