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7일 북한의 천안함 폭침 사건과 연평도 포격 도발에 언급, “전쟁을 두려워해서는 결코 전쟁을 막을 수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라디오와 인터넷을 통해 방송된 연설에서 “우리는 이제 무력도발에 대한 강력한 대응만이 도리어 전쟁을 억제하고 평화를 지킬 수 있다는 사실을 똑똑히 알게 되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는 그동안 참고 또 참아왔다”며 “더 이상의 민족적 비극을 원치 않았기에 어떻게든 한반도의 평화를 유지하고 싶었다. 우리가 조금만 참으면 이 땅의 평화를 지킬 수 있으리라 믿었다. 그러나 북한은 우리의 인내와 평화에 대한 염원을 오판하고 거리낌 없이 도발을 자행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어떤 위험도 무릅쓸 단단한 각오가 있으면 오히려 위험도 막을 수 있다”며 “이제 우리 군은 철통같이 국토를 지키면서, 공격을 받을 때는 가차 없이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우리가 어려울 때, 우방국의 도움이 큰 힘이 되었다”고 설명하며 “지금 이 시점에, 누가 대한민국을 지켜야 되겠느냐. 우리 스스로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따라서 “우리 국민 모두가 하나로 똘똘 뭉쳐야 한다. 우리의 생명과 국가의 존망이 달려 있기에 안보 앞에서는 너와 내가 따로 있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특히 “안타깝게도 국론이 갈렸다”면서 “우리 젊은이 수십 명이 희생됐지만, 일각에서는 이념이나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조사 결과조차 부정하는 일이 있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모습을 보고 북한은 ‘아, 우리가 공격하면 남쪽이 이렇게 분열되는구나, 다시 도발해도 좋겠구나’고 생각했을 것”이라며 “우리를 분열시키기 위해서 우리를 노리는 것이다. 이 때문에 강력한 군사적 대응에 앞서 국민적 단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국민이 하나 되어 단합된 힘을 보이면, 북한은 감히 도전할 생각을 할 수가 없다”면서 “연평도 포격도발로 우리 국민은 값진 교훈을 얻었다. 더 이상 북한에 끌려 다녀서는 안보도, 평화도 지킬 수 없다는 것을 절감하고 국민 모두의 강한 의지를 하나로 모아야한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