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북(從北)주의’ 논란 끝에 민주노동당과 갈라선 진보신당이 “심각한 경제난에도 불구하고 수천억이 들어가는 인공위성을 발사한다는 것은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며 북한의 미사일 발사 움직임을 정면 비판했다.
진보신당은 27일 북한이 인공위성이라고 주장하는 ‘광명성 2호’ 발사가 임박한 것과 관련 “북한은 자신들의 인공위성 발사 주장이 (국제사회에) 순수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음을 직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진보신당 김종철 대변인은 이날 발표한 논평에서 “북한의 경제상황이 매우 어려운 것이 주지의 사실인데, 수천억으로 추정되는 로켓발사 비용을 들여가면서까지 인공위성을 발사한다고 했을 때 이를 납득할 사람이 얼마나 될지 의문”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또한 “이미 북한이 핵무기 보유를 공언한 상태에서 발사하는 로켓에 대하여 이것이 순수한 우주기술 개발을 위한 것이라는 말에 쉽게 고개를 끄덕이는 나라가 몇이나 되겠느냐”며 “우리는 이런 점에서 북한의 강경입장은 합리적 설득력을 잃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북한이 인공위성이라고 입장을 밝힌 마당에 이를 극구 미사일이라고 규정하고 유엔 안보리 제재니, 요격이니 강경 입장을 밝히고 있는 한국과 일본 정부도 이성적 태도를 찾아야 한다”며 “북한이 지난 1998년 광명성(대포동) 발사 때와는 달리 국제사회에 인공위성 발사 사실을 통보한 점을 보건데 현재 남한과 일본이 취하는 태도는 비이성적이고 감정적이며, 갈등을 더욱 조장하는 태도”라고도 지적했다.
진보신당과 민주노동당은 오는 4·29 재보선에서 울산 북구 지역에 단일 후보를 내기 위해 협상을 진행하는 등 축소되고 있는 진보진영의 정치세력화를 위해 ‘전략적 제휴’를 맺기도 했다.
그러나 진보신당은 최근 북한의 잇단 대남 위협조치에 대해서도 “‘벼랑끝 전술’의 남발은 남북관계를 더욱 악화시킬 수도 있음을 (북한도) 잘 알고 있지 않느냐”고 지적하는 등 북한 문제와 관련해서는 민주노동당과 분명한 선을 긋고 있다.
한편, 앞서 민주노동당 우위영 대변인은 미사일 사태와 관련 “북한의 입장에서는 평화적 우주권을 행사하는 미사일 발사로 규정하는 것에 주권침해라고 생각할 수 있다”며 “정부는 남북관계 해결에 전향적으로 임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