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핵실험 사태와 관련, 필립 티에보 주한 프랑스 대사는 12일 “대량살상무기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해상봉쇄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티에보 대사는 이날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를 만나 “프랑스는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참여국으로서 이 조치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배석한 유기준 대변인이 전했다.
티에보 대사는 UN 대북 결의안 진행 상황에 대해 “지금 상임이사국 5개국과 일본이 노력 중이며 단지 제재 범위에서 일정 부분 조정이 필요하다”며 “무력 사용을 배제하고 경제 제재를 통해 북한에 영향을 주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르면 13일 결의안이 통과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티에보 대사는 또 “유엔 헌장 제7장에 근거한 결의안 채택을 찬성한다”면서 “경제제재를 포함, NPT체제의 복귀와 핵포기를 이끌기 위한 안보리를 통한 외교적 노력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티에보 대사는 북한의 핵실험 성공 여부에 대해선 “북한이 핵실험을 발표한 이상 대응 조치를 취하는 것이 국제사회의 의무”라며 “성공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티에보 대사는 그러면서 ▲재래식 무기의 폭발 가능성 ▲핵실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 ▲핵물질을 소량만 사용했을 가능성 등 3가지 경우를 언급했다.
티에보 대사는 이어 프랑스가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인정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선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한 적도 없고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잘라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