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슬린 스티븐스(D. Kathleen Stephens) 주한미국 대사 지명자가 9일 미국 상원 인사청문회에 참석해 탈북자 문제를 포함해 북한인권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스티븐스 지명자는 “한국과 미국에는 여전히 많은 이산가족들이 있다”면서 “한국과 미국 등 자유민주주의 국가는 북한인권 상황을 개선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미국과 한국은 북한의 인권상황을 개선하는 문제에 깊은 관심을 공유하고 있다”면서 “의회 인준을 받게 되면 북한의 인권문제에 관해 한국 정부와 긴밀하게 협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스티븐스 지명자는 또한 북핵문제에 대해 “미국은 6자회담을 통해 한반도의 비핵화를 이뤄내고 2005년 6개 당사국이 합의한 공동성명(9·19합의)의 원칙을 이행하는 방안을 모색해왔다”며 “그 과정에서 한국과의 협력은 도움이 됐고, 앞으로 한국과 이처럼 긴요한 협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18~19일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새로운 책무를 맡은 이명박 대통령이 첫 해외 방문지로 미국을 선택한 것은 절절한 것”이라며 “한미 정상은 다음주 캠프데이비드에서 양국이 동아시아와 이를 뛰어넘는 지역에서의 자유와 안보, 번영과 관련해 공유된 가치를 진전시켜 나가는 문제를 집중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스티븐스 지명자는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한국의 병력파견 문제를 이명박 정부와 협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는 “우리는 아프간에서 필요한 것이 무엇이고, 한국이 어떤 방식으로 기여할 수 있는지에 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며 “미국과 한국은 현재 많은 문제를 협의하고 있는 만큼 다음주 이명박 대통령의 방미에서 이런 문제들이 다뤄질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스티븐스 지명자는 “한국의 안정된 민주주의와 한미 간 동맹 파트너십을 감안할 때 한국은 비자면제협정의 당연한 후보”라면서 “앞으로 보다 폭넓은 정보공유, 사법공조, 한국의 전자여권 도입 등을 포함해 한국의 비자면제협정 프로그램 가입을 위한 입법적 조치사항을 다뤄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