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총련, 대북 송금용 외화벌이 여전

조총련의 대북송금 사업이 여전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본 경시청은 조총련 산하 단체가 벌인 불법 사업이 대북 송금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해 14일 압수수색에 나섰다.

경시청은 불법 의약품을 판매해온 조총련 산하 단체인 재일본조선인과학기술협회(이하 과협) 부회장 2명을 검거, 이들의 범죄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증거확보 차원에서 과협 사무실 압수수색이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과협 부회장 불법 의약품 판매

2001년 조선은행 신용조합의 자금 유용 사건 이후 조총련은 경시청의 내사를 받아 왔다.

그 이후 조총련 간부들이 강력하게 반발했지만 일본 경시청은 조총련이 불법으로 벌어들인 외화가 북한의 무기생산 관련 물자반출에 관여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과협의 부회장으로 있는 현성배(69), 정명수(53)는 불법 의약품을 인터넷에서 판매해온 혐의를 받고 있다.

이와 관련, 경시청 관계자는 “과협이 북한의 미사일 개발에 부품, 소프트웨어, 기술 등을 반출 및 제공한다는 첩보를 입수, 이번 불법 의약품 판매 수익금도 북한 무기개발에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압수수색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과협, 北 무기개발 관련 물품 운송 역할

▲만경봉호를 통해 무기관련 부품수송과 대북송금이 이루어진다

조총련 산하 단체인 재일조선인과학기술협회 1959년 창립이후 46년간 활동을 해왔으며 박사, 교수, 공훈 과학자와 기술자, 생산업자들로 구성된 과학기술단체이다.

과협은 과학기술적 연구 성과를 통해 조국건설과 민족의 번영, 재일동포들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설립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과협은 북한 무기 개발에 필요한 하이테크 부품, 기술, 재료 등을 만경봉호를 통해 북송해왔다.

과협은 IC(집적회로)와 컴퓨터 등의 첨단기술개발에 관련 있는 과학자와 첨단관련기업의 조선인 경영자로부터 연구개발 자료를 입수하여 북한으로 보내는 일도 해왔다.

실제로 1987년 3월 일본의 모상사가 컴퓨터 500대를 북한으로 밀수하려다 미수로 그친 사건에서도 과협을 통한 첨단기술 및 제품의 밀수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1994년 과협은 북한의 미사일 고체연료 제조에 사용되는 분쇄기, 제트밀(미사일 추진연료 재료) 등의 수출을 돕기도 했다.

조총련, 아직도 北 외화벌이 중추

▲북한을 방문한 조총련 대표단

과협의 소속단체인 조총련은 조은(朝銀)과 조선신용조합이라는 금융기관을 설립해 재일동포들의 저축권장을 통해 자본을 축적했다. 이런 재력으로 조총련은 수익성 좋은 빠찡코(슬롯머신) 사업 경영과 토지의 매입매각 사업 등으로 외화벌이에 전력을 다했다.

이후 조총련계 조선은행신용조합은 2조5000억엔 규모의 예금고를 보유하고 조총련계 교포들의 사업 자금을 지원했으며 중앙 산하에 48개 지방본부와 300개지부, 18개 산하단체와 23개 사업체를 거느린 거대한 조직을 번성했다.

조총련 의장 한덕수의 서열은 김일성이 사망했을 때 김정일 오진우에 이어 3위에 오를 정도였다. 이것은 조총련이 북한 외화벌이에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김일성, 김정일 생일이나 노동당 창건기념일 때마다 ‘애국 사업’ 성과로 거액의 돈을 북한 정권에 공급해왔다.

일본 월간잡지 정론(正論)(2000년 5월호)에 실린 조총련 중앙본부의 재정국 출신의 핵심간부의 증언에서도 조총련이 사업을 통해 벌어들인 돈을 북한에 송금해왔다는 것이 일본 언론들에 의해 공공연하게 확인되어 왔다.

음성적으로 활동하는 조총련

조총련의 대북 송금이 기정사실화 되고 일본 경시청의 압수수색이 행해지고 있지만 조총련의 대북 송금 절차가 철저히 음성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대북송금 근절은 어려워 보인다.

조총련은 일본내의 친북적인 정치인들을 후원금을 통해 포섭 했고 정치자금에 자유로울 수 없는 정치인들은 조총련 불법 송금의 공론화를 막아 왔다.

또한 조총련내의 북한 송금업무는 현찰위주로 만경봉호를 통해 인편으로 보내지고 송금 업무를 맡고 있는 조직원들은 증거 인멸을 위해 송금실적이 남을 만한 일체의 증빙서류를 파기한 채 활동해왔던 것이다.

특히 송금 업무를 맡고 있는 조직원의 친족들이 이미 북한에 살면서 볼모로 잡혀 있기 때문에 불법 송금을 포착하더라도 입을 열지 못한다.

김용훈 기자 kyh@dailyn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