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입장을 비공식 대변하는 재일본 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28일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김정일 국방위원장 면담과 북한 특사조문단의 방남 등을 계기로 남북관계가 “새로운 국면에 들어서고”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도 상대가 내밀었던 손을 맞잡아야 전반적인 북남관계가 발전의 궤도에 들어설 수 있다”고 주장했다.
조선신보는 이날 ‘금강산에서 확인하는 수뇌합의 정신, 흩어진 가족, 친척문제의 해결 방도’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북측 적십자 관계자들이 26-28일 금강산에서 열린 남북적십자회담 내내 “불신과 대결의 낡은 관념을 대담하게 털어버리고 민족화해와 공동번영을 위해 손잡고 나아갈 것을 호소”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신문은 특히 남북관계가 새로운 국면에 들어서는 가운데 “수뇌합의들(6.15공동선언, 10.4남북정상선언)에 대한 `실용정부’의 태도와 이행 의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며 “아직은 가시적인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이산가족 문제의 해결에 “관심이 있는 정부라면 결론은 저절로 정해질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신문은 “북한은 북남선언의 정신에 따라 이 문제를 다루는 것이 적십자단체의 사명과 정신에도 부합된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민족공동의 통일강령에 입각해야 북과 남은 인도적 사업에서도 실질적인 호상(상호) 협력이 가능하다. 상봉행사를 비롯한 사업들도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수 있다”고 강조, 6.15선언 등에 대한 남측 정부의 입장 여하에 이산가족 상봉의 지속 여부가 달려있음을 내비쳤다.
이러한 주장들은 또한 북한이 이산가족 문제와 6.15공동선언및 10.4남북정상선언의 존중.이행 문제를 연계시킴으로써 남한 사회에 두 선언의 존중.이행 여론을 확산시켜 정부의 대북정책 변화를 유도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신문은 이명박 정부 들어 “상봉행사가 한번도 진행되지 않았던 현실은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도 북남선언의 이행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남겼다”고 거듭 두 문제의 연계성을 강조했다.
신문은 특히 “북남의 정치적 상황에 관계없이 인도주의 사업은 지속돼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고 지적하고 “그러나 조선반도의 현실을 외면한 ‘순결한 적십자 정신’은 북남관계가 교착에 빠질 때마다 눈앞의 정치적 현실에 의해 부정돼 왔다”며 “1년9개월만의 적십자회담도 적십자 단체의 결심만으로는 열리지 못했다”고 상기시켰다.
이는 이번 적십자회담에서 남측 대표단이 이산가족 문제 해결의 3대 원칙의 하나로 제시한 `이산가족 교류사업은 어떠한 정치적 사안에도 불구하고 추진돼야 한다는 인도주의 존중 원칙’에 대한 북측의 간접 답변이기도 하다.
신문은 남측이 제시한 ‘3대 원칙’가운데 ‘일회성 상봉이 아닌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추구하자는 원칙’과 관련해서도 “북의 적십자 관계자들은 ‘우리가 북남 수뇌합의 이행에 대하여 그토록 강조하는 것은 그것이 흩어진 가족, 친척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앞당기는 길이기 때문’이라고 말하곤 한다”고 간접 답변했다.
이 신문은 한편 김정일 위원장의 현정은 회담 면담, 특사조문단의 서울 파견 등을 들어 “북의 주동적인 조치로” 남북관계가 새로운 국면에 들어서고 있다고 북한의 주동성을 강조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