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입장을 대변하는 재일본 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14일 후쿠다 내각의 출범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대북 적대정책은 변화가 없다며, 지난 9월 울란바토르 국교정상화 실무그룹회의에서 조기 국교정상화를 위해 노력해 나가기로 한 합의가 이행되지 않는 것은 일본의 “외교적 실천력이 상실”된 것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조선신보는 ‘고립된 일본, 변하지 않은 대조선(대북) 대결 정책’ 제목으로 올해 북일관계를 결산하는 기사에서 “지난 1년간 6자회담 참가국들 가운데 정권이 바뀐 것은 유독 일본만이지만 대세의 흐름에 역행하는 대조선 대결책에 변화는 없었다”고 강조했다.
신문은 “일본은 아베 몰락의 후유증에서 아직도 벗어 나지 못하고 있다”며 “내정문제에 발목이 잡힌 정치인들의 이기주의와 관료들의 안일주의가 결합된 것으로 하여 한 나라의 외교적 실천력이 상실되었다는 분석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신문은 울란바토르 회의에서 일본측이 조기 국교정상화 노력에 합의하는 등 강경자세를 바꾼 것은 “제재와 압력으로 조(북).일관계를 동결시킨 아베식 대결노선의 파탄”을 의미한다고 말하고, 아베정권이 무너지고 후쿠다 정권이 출범했지만 지난 10월 대북제재를 6개월 연장키로 한 것은 “외교적 관례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5일 후쿠다 총리를 거명하며 “반공화국(반북) 모략 소동은 현 일본당국의 집권생리로 되고 있다”고 비난하는 논평을 발표한 것은 “일본의 구태의연에 대한 조선(북)의 냉정한 관점을 엿볼 수 있게 하는 대목”이라고 신문은 말했다.
조선신보는 올해 북한의 대일감정이 “극도로 악화”된 것은 일본 당국이 조총련과 재일 동포들을 “악랄하게 탄압한 것이 원인”이라고 말하고, 북한 당국은 하노이 북일관계정상화 실무그룹회의에서 밝힌 ▲대북제재 해제 ▲조총련 탄압 중지 ▲과거청산 시작 등 “대일 행동의 3가지 조건을 끝까지 견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문은 끝으로 “과거 5년간 일본은 다른 길을 끈질기게 추구하였지만 울란바토르에서 스스로 인정한 것처럼 6자의 틀거리 안에서 이미 판가름은 났다”며 “동북아시아 국제질서의 재편과정을 외면하고 대세에 역행한 일본은 내년 이후 과거청산을 계속 미루어왔던 후과를 똑똑히 깨닫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