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11일 차관급 당국회담에 나서는 양측 대표단 명단을 9일 최종 확정했다. 통일부에 따르면 양측은 이날 오후 판문점 연락관을 통해 각각 3명으로 확정한 ‘제1차 남북당국회담’ 명단을 교환했다.
우리측은 황부기 통일부차관을 수석대표로 김의도 통일부 국장, 손재락 총리실 국장이 참석한다. 북측은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서기국 부국장인 전종수 단장, 황철, 황충성 등 3명의 명단을 통보해왔다.
우리측 수석대표인 황 차관은 1987년 행정고시(31회)에 합격해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통일부 장관 비서관, 정책기획과장, 남북회담본부 회담연락지원부장, 교류협력국장, 기획조정실장 등 통일부 내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쳤다.
2005년에는 개성공단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 초대소장을 맡아 남측 당국자로서는 처음으로 북측 당국자와 한 건물에 상주하며 각종 경협 관련 협의를 전담했다.
2008년 금강산 관광객 박왕자씨 피격사망 사건 당시에는 정부합동조사단장을 맡아 사건 경위 조사와 발표를 주도하기도 했다.
북측 대표단을 이끌 전 부국장은 1992년 사망한 전인철 북한 외교부 부부장의 아들로 북측 남북회담 전문가로 통한다.
전종수 부국장은 조평통 서기국 참사와 내각사무국 과장, 조평통 서기국 부장 등을 역임했으며 지난 2000년 남북 정상회담, 2002년 제2차 금강산관광 당국회담과 제12∼21차 남북 장관급 회담 등에 북측 대표단으로 참여했던 인사다.
이번 회담의 수석대표가 양측이 애초에 합의한 대로 차관(북측은 부상)급으로 균형 있게 결정되면서 일각에서 우려했던 수석대표의 격(格)과 관련한 논란은 없었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지난 2013년엔 장관급 회담을 추진하는 과정에선 수석대표의 격 문제로 결국 회담이 무산되기도 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 간 현안 문제는 대화를 통해서 해결하고 이러한 대화는 양측의 실질적인 권한과 책임을 가진 인사 간에 이뤄져야 한다는 게 정부의 기본 입장이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북측에서)남북 당국회담에 임할 책임 있는 인물을 선정했다는 점을 감안해서 전종수 단장과 현안 문제를 논의하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