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근 “남북정상회담, 정치적 거래 있었을 것”

▲정형근 한나라당 의원ⓒ연합

한나라당 대북정보통인 정형근 의원이 오는 28일 열리는 남북정상회담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대북 에너지 지원 등 정치적 거래가 이루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9일 KBS 라디오 프로에 출연해 “과거 6∙15 정상회담에서 5억불을 준 여파 때문에 그런 금전거래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도 “북한은 조그마한 1회용 이벤트나 남북간의 교환거래에 있어서 반드시 뒷돈 등 금전적인 요구를 해왔다는 점에서 그런 의구심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보기관에서 많은 공을 들였다는 말이 나오고 있는 점 등을 봐서 이번 정상회담을 합의해 주는 대신에 경수로 지원이라든지 다른 대북지원 등과 같은 정치적 거래는 있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참여정부에서 정상회담을 투명하게 하겠다고 수차례 약속했음에도 사흘 전까지도 밝히지 않았다”면서 “김만복 국정원장이 두차례 방북하고 합의했는데 이런 내용을 전혀 공개하지 않았고 미국과 공조로 상호 전략을 논의해야 함에도 몇 시간 전에 통지한 점 등을 봤을 때 정치적인 뒷거래가 있었을 가능성이 짙다”고 주장했다.

그는 회담 의제에 대해 “북한은 아마 경수로 지원 등을 요구할 것이며 국군포로, 납북자 송환 이야기도 안나올 수 없을 것”이라면서 “북핵 폐기에 대한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선언이나 재래식 무기에 대한 군축 등을 폭넓게 논의하고 경제적 지원 등에 대해서도 의제로 선정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그는 “큰 틀에서 남북한 평화선언이나 평화체제를 논의한다든지 하는 선언을 할 수 있다”며 “특별한 기구를 만든다든지 이런 것도 도출해 내려고 하지 않겠느냐. 그런 것은 긍정적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회담 장소가 평양으로 결정된 데 대해 “처음에 남측에서 서울이나 제3의 장소를 주장했으나 북측 요구에 결국 굴종하고 말았다고 전해 들었다”며 “북이 계속 평양으로 하자는 것은 나름의 이유가 있다. ‘평양에서 조공한다, 문안한다’고 일본 고이즈미 전 총리가 방북 했을 때도 선언한 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장성민 세계와 동북아평화포럼 대표는 이날 CBS ‘시사자키 오늘과 내일’에 출연해 “노무현 정권으로부터의 어떤 물질적 지원 없이도 북측이 남북정상회담에 응해주게 된 실질적인 이유는 남한의 대통령선거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며 물질적 뒷거래 가능성을 낮게봤다.

그는 “북한은 정상회담을 계기로 민주개혁진영의 대통합을 갈망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한나라당 대선후보가 당선되지 않는 분위기를 만들어야겠다는 전략적 효과를 노리고 있는 측면이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