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유 씨 석방 환영…北에 보상해선 안돼”

정치권은 현대아산 근로자 유성진(44) 씨가 북한에 억류된 지 136일만에 무사 귀환한 것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하면서도 이에 대한 정부 차원의 보상이 이뤄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나라당 윤상현 대변인은 14일 “도발과 잘못된 행동에는 어떠한 보상도 없다는 것이 원칙”이라며 “유 씨의 불법 강제억류사태가 해소된 것은 그간 일관된 원칙을 지켜온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북한의 답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황진하 제2정조위원장도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무조건 북한을 도와주지는 말라고 하는 것이 국민의 목소리였다”며 “대북정책의 원칙에 변함이 없고, 일관된 대북정책을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 여기자 두 명을 다 풀어주고 난 다음에 같은 동포라고 하면서 우리 근로자를 계속 잡고 있을 명분도 없었을 것”이라며 “(남북관계에) 무조건 긍정적 변화가 됐다라고 예측하기 어려운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노영민 대변인은 “늦었지만 이제라도 유성진 씨가 석방된 것은 다행”이라며 “경색된 남북관계에 물꼬를 뜨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는 동시에 연안호 선원에게도 좋은 소식이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은 “인질석방은 악행의 중단일 뿐, 결코 선행이 될 수 없다”며 “정부는 인실 석방과 관련된 모든 과정과 조건 등을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 그래야 북한의 상습적인 인질 억류를 종식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촉구했다.

특히 “우리 정부는 유 씨 석방과 관련된 그 어떤 유·무형의 대가도 지불해서는 안 된다”며 “금강산 박왕자 씨 저격사건이나 개성공단 유 씨 억류 사건도 모두 북한이 부담해야 할 일로, 북한에 당당하고 단호하게 대처해야 남북관계도 풀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친박연대 송영선 의원은 “정부는 개성공단 체류 근로자 신변안전과 재개 가능성이 있는 금강산·개성관광에서 우리 국민에게 더 이상 신변 위협이나 안전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적 조치를 취하고 이를 북한 당국으로부터 보장받는 것이 급선무”라고 촉구했다.

한편, 청와대도 유 씨 석방과 관련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라는 안도의 반응을 보이면서도 “우리 정부는 앞으로도 일관된 대북정책 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