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은 정부의 PSI 가입 발표에 따른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용인될 수 없는 도발이라고 비판하고, 군이 굳건한 안보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나라당 박순자 최고위원은 28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이 우리 정부의 PSI전면 참여를 강력 반발하며 어디에서든 단호하고 무자비하게 보복할 것이라고 했다”며 “적반하장도 이런 적반하장이 없다”고 말했다.
박 최고위원은 또한 “지금은 심각한 안보위기 상황으로 북한의 반발을 억지나 엄포로 무시해서는 절대 안 될 것”이라며 “북한이 서해상에서 국지적인 무력도발에 나설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상호주의, 한반도 비핵화, 한미공조 원칙 아래 굳건한 안보태세를 구축해야 한다”며 “사회적으로도 안보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울 필요가 있다. 대내적으로는 하나가 되고 대외적으로는 단호해질 때”라고 강조했다.
공성진 최고위원은 “북한은 노 전 대통령의 급작스런 서거에 조전과 함께 핵실험과 미사일을 쏘며 일반 상식으로는 도저히 가능할 수 그런 행태를 보여줬다”며 “내일이 고인이 마지막 가시는 영결식인데 이를 전후해 또 다른 충격파가 있지 않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말했다.
자유선진당 심대평 대표도 이날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핵 문제로 촉발된 안보 불안, 특히 정부의 PSI 참여 발표에 따른 북한의 위협적 도발 등이 불안한 상황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이런 시기에 우리 사회가 각종 위기의 충격과 비탄에 함몰돼 무기력해져서는 절대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에 대해서 강력한 문제제기와 함께 한미공조 체계를 더욱 확고히 하는 노력을 기울여 나가야 한다”며 “더불어 북한의 도발에 대한 단호한 대처, 그러나 한 템포 깊이 생각하는 정부의 노력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노영민 대변인도 이날 발표한 논평에서 “우리 정부의 PSI 전면 참여 발표에 따른 북한의 대응이 도를 넘고 있다”며 “북한이 말하는 남북간의 극한 무력충돌과 정전협정의 무력화는 아무리 협박성 발언이라고 해도 너무 끔찍하고 절대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의 비이성적인 발언에 대해 심각한 우려와 경악을 금할 수 없다”며 “북한의 냉정하고 상식적인 판단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