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3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에서 남북관계 및 북핵 문제에 대한 대화 실마리가 조성될 것이라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23개 회원국 간의 다자안보대화 성격인 ARF 회의는 아세안(ASEAN) 10개국과 더불어 북핵 6자회담국이 모두 참여하고 있다. 그런만큼 매년 북핵문제와 북한의 도발 등 한반도 문제가 중요하게 다뤄졌을 뿐 아니라 남북간의 외교 각축장이 되기도 했다.
우리 정부는 북한을 6자회담 재개의 첫 단추인 남북 비핵화 회담에 이끌어 내는 기회로 이번 회의를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회의에는 김성환 외교장관과 박의춘 북한 외무상을 비롯해 6자회담 참가국 외교장관들이 모두 참석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 당국은 6자회담국 간의 다양한 형태의 양자 및 다자 회동을 통해 북한이 대화에 나설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당국자는 18일 “남과 북이 서로 충돌하는 모습을 지양하고 북한이 남북 비핵화 회담의 장에 나오도록 분위기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해 천안함과 연평도 사태로 불안한 정세가 조성됐지만 우리는 거기에 머물 수 없다”며 적극적인 남북관계 개선 의지를 피력했던 것을 구체화시키는 방향이다.
지난해 7월 베트남 하노이 ARF에서는 천안함 사건에 대한 북한 책임을 명시하는 문제를 놓고 남북간 치열한 외교전을 펼쳤던 상황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라고 할 수 있다.
우리 정부는 올해 상반기 동안 대화재개 흐름을 만들기 위해 물밑접촉 등을 진행했지만, 오히려 북한의 비밀접촉 폭로 등으로 교착 상태가 지속됐다.
정부가 유연성을 발휘하겠다는 입장인 만큼 하반기 남북관계의 분수령이 될 수 있는 이번 ARF 회의가 어떤 결과물을 도출할지는 북한의 호응 여부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다.
김성환 장관은 지난달 말 내외신 정례브리핑에서 ARF에서 박의춘 북한 외무상이 만나자고 하면 “안 만날 이유가 없다”며 “어떤 경로를 통해서든, 내가 먼저든 그쪽이 제의하든 얼마든지 만날 용의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북한이 이달초에도 ‘이명박패당 규탄 평양 10만 군민대회’를 갖는 등 주민을 상대로 대남 비방을 지속한 바 있어 공세적인 분위기를 급전환시키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