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한미연합훈련 자주적인 판단하에 실시”

정부는 중국이 안보리 성명 이후 예정된 한미연합훈련에 대한 반대 입장을 공식 선언한 것과 관련 “우리 정부의 자주적인 판단을 통해 (훈련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선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8일 “이번 훈련은 천안함 사건 대응방안의 일환으로 한미 군 당국이 협의되고 있는 사항”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나 김 대변인은 “한미연합훈련의 성격은 중국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라면서도 연합훈련의 기간 및 규모에 대해서는 “한미 군 당국간에 협의가 진행중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언급을 피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안보리에서 중국정부의 협의를 이끌어 내기 위해 연합훈련의 규모를 축소될 수 있냐’라는 질문에 대해서도 “안보리에서의 논의는 안보리 상임이사국을 중심으로 해서 현재 긴밀히 협의가 이루어지고 있다”고만 말했다.


정부는 현재 한미연합훈련이 예정되로 진행될 것을 강조하고 있으나, 훈련의 구체적인 규모나 기간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벌써부터 중국의 반발 정도에 따라 연합훈련의 규모와 시기가 변동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중국 군부가 강력히 반발하고 있는 항공모함의 훈련 참여 등이 취소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미국 마크 토너 국무부 부대변인도 6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한미 군사훈련 관련해) 아직 아무것도 결정된 것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인민해방군의 해군 군사력이 노출되는 것을 꺼리고 있고 특히 미국 ‘조지 워싱턴’ 항공모함이 참여하는 훈련이라는 것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뤄위안(羅援) 중국 인민해방군 소장은 지난 5일 홍콩방송과 인터뷰에서 미국이 항공모함 조지 워싱턴호를 서해에 파견, 한국과 합동훈련을 할 경우 중국 인민해방군의 ‘살아 움직이는 훈련용 과녁’이 될 수 있다고 엄포를 놓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