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7일 추석 명절을 계기로 남북이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할 수 있다는 일각의 보도와 관련,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이산가족 상봉행사는 설 명절 때(2월 말) 북한 금강산에서 이뤄졌고, 남북 각각 100명씩 만난 바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조만간 북한과 추석계기 이산가족 상봉문제를 협의해 나갈 것이라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어 “실무적 차원에서 여러 가지 검토는 할 수 있겠지만 현 단계에서 추석 계기 상봉을 위해 정부가 구체적으로 준비하고 있는 사안은 없으며 검토된 내용이 결정된 바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산상봉을 북측에 먼저 제의할 계획 여부에 대해서는 “가능성을 배제한 것은 아니지만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검토해서 일정을 말해주거나 그런 상황은 아니다”면서 “앞으로 상황을 봐야하며 남북관계 고려해서 결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당국자는 “명절계기로 상봉을 해도 명절이 임박해서 하는 게 아니라 명절 앞뒤로 하는 것”이라며 “이달 중순이나 말께에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회담을 하더라도 9월 말이나 10월 초가 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그는 특히 “(북한의 인천) 아시안게임 참가 지원과 이산가족 상봉은 별개 사안”이라면서 “북한 선수단·응원단 지원 문제는 국제관례나 대외규정에 따라 북한과 협의해서 결정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의 아시안게임 참가를 위한 실무접촉을) 먼저 제의할 계획이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남북은 지난달 17일 판문점에서 북한의 아시안게임 참가를 위한 실무접촉을 가졌지만 ‘비용 지원’ 문제 등으로 결렬됐다. 북한은 이후 연일 매체를 통해 실무접촉 결렬 책임을 우리 정부에 전가하면서도 참가 의지를 표출하고 있다.
한편 이 당국자는 새누리당 지도부가 인천 아시안게임 때 북한 선수단 및 응원단에 대한 지원과 5·24 조치의 전향적 해제를 촉구한 데 대해서는 “정부는 북한의 책임 있는 조치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계속 유지해오고 있다”고 재차 밝혔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등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 응원단 파견을 남북관계 개선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면서 정부의 결단을 주문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