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러 관계와 서해훈련은 구분해야”

정부는 20일 서해상 포격훈련에 대해 중국과 러시아가 반대해도 한국의 주권지역에서 이뤄지는 통상적인 훈련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실시할 것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영선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연평도 사격훈련은 우리 해역에서 우리 영토에서 이루어지는 훈련”이라면서 “이 훈련은 오래전부터 실시해온 통상적이며 정당한 방어적인 훈련일뿐 아니라 우리의 주권적인 사안에 속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중·러가 공식적으로 사격훈련 반대 입장을 표명한 것에 대해 “정부는 중국과 러시아와 전략적인 협력동반자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중국, 러시아하고의 전략적인 협력관계와 주권국가로서의 통상적이고 정당한 방어적 성격의 훈련과는 구분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한반도와 관련된 여러 분야에 있어서 양자관계를 포함해서 중국과 러시아와 동반자관계를 발전시켜나간다는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연평도 사격훈련은 우리 해역과 영토에서 이뤄지는 훈련”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북한은 이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도발적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며 “도발적 행동을 범할 경우 응분의 책임이 따른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날 북한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핵사찰단 복귀를 허용하기로 빌 리처드슨 미국 뉴멕시코 주지사와 합의했다는 CNN 보도와 관련,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파악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아직 공식적으로 평가하기는 이르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이어 “북한의 비핵화 의지는 진정성이 가장 중요하고 구체적으로 실천에 옮길 수 있는게 문제”라며 “IAEA 사찰단을 받아들이더라도 사찰단의 범위나 어떤 의도를 갖고 언급했는지 종합적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