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북한이 신숙자씨가 사망했다고 밝힌 것과 관련, 추가 사실 확인과 송환을 위한 활동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9일 “남북 적십자 채널과 국제사회와의 협조 등을 통해 신씨의 생사확인과 송환 촉구노력을 보다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북한의 답변은 신씨가 언제 어디서 사망했는지 등에 대한 구체성이 부족하다”며 “북한이 보다 성의 있는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신씨가 혹 사망했다면 당연히 인도적 차원에서 유해를 한국에 송환해야 하고 두 딸도 돌려보내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이 이례적으로 신씨 신변관련 답변서를 보낸 것에 대해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김정은 시대의 변화라고 보기 어렵다”면서 “북한 답변서 내용은 7줄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외교통상부도 향후 신씨 생사확인과 송환 등과 관련 외교적 노력을 벌일 방침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지금까지 정부가 관심을 갖고 유엔을 통해 측면 지원해온 사안”이라며 “북한 측의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가 있어야 하므로 사망증명서 같은 입증 자료를 구하는 일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달 27일 ‘유엔 임의적 구금에 관한 실무그룹’에 보낸 답변서에서 신씨가 간염으로 사망했으며 두딸인 오혜원, 규원씨가 오길남(70)씨와 만나기를 거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실무그룹은 지난 3월 1일 대북인권단체인 ‘북한반인도범죄철폐국제연대(ICNK)’의 청원을 받아 북한측에 신씨 모녀 신변에 대한 질의서를 보내고 60일 이내에 답변할 것으로 요청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