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4일 개성공단 문제와 관련 “북한 당국은 기업 손실에 대한 피해보상 등 우리 국민과 입주기업들이 납득할 수 있는 책임 있는 조치를 해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대북성명을 통해 “정부는 날로 늘어가는 우리 기업들의 막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이 문제는 북한 측의 일방적인 조치에서 초래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대변인은 “개성공단을 국제적 수준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정부입장은 확고하다”며 “하지만 북한 측이 언제 또다시 정치군사적 이유로 공단운영을 중단시킬지 모른단 불안감이 지속된다면 결국 기업들은 공단을 떠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한 측의 보다 진정성 있는 태도를 원하는 우리 국민들의 인내심도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는 점을 북한 측은 명심해야 할 것”이라며 “침묵이 아니라 책임 있는 말과 행동으로 그 의지를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북측이 우리 정부의 최근 회담 제의에 호응할 것을 재차 촉구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9일 통일부 장관 명의의 전화통신문을 통해 개성공단 관련 실무회담을 갖자고 제의한 바 있다. 하지만 북한은 일주일째 답변을 하지 않고 있다.
김 대변인은 또한 “정부가 (공단) 가동중단 이후 실태를 조사한 결과 우리 기업들의 피해는 투자자산 약 4500억 원 외에 영업손실만 약 3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며 기업들이 입은 물질적 피해를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이어 “입주기업과 협력업체 등 개성공단 관련 종사자 6만여 명이 직장을 잃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싸여 있으며, 개성공단에서 일할 수 없게 된 5만여 북한 근로자들의 어려움도 클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