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북한이 6일 한미 합동군사훈련 중단을 요구하며 이산상봉 합의 이행을 재고할 수 있다고 밝힌 것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면서 합의 이행을 재차 촉구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긴급 브리핑을 통해 발표한 ‘정부 입장’에서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에 합의한 지 불과 하루 만에 합의를 이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위협하는 것은 이산가족들의 가슴에 못을 박는 행동으로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어 “한미 합동훈련은 우리가 수차례에 걸쳐 설명했듯이 방어적 성격의 연례적인 훈련으로 이산가족 상봉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면서 “북한은 어제 회담에서 군사훈련에 대해 아무 말 없이 이산가족 상봉에 합의했는데 이제 상봉과 군사훈련을 함께 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은 온당치 못한 자세”라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또한 “북한의 태도는 이산가족 상봉을 내세워 우리의 정당한 군사훈련을 중지시키거나 또는 군사훈련을 핑계로 이산가족 상봉을 무산시키려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특히 “북한은 60년 이상을 기다려온 고령의 이산가족들에게 또다시 상처를 주는 행동을 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이번 상봉 합의는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는 점을 분명하게 밝힌다”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북한이 우리 언론의 일부 보도를 문제 삼아 ‘남측이 비방·중상을 하고 있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정부는 북한을 비방·중상한 적이 없다”며 “일부 언론 보도를 문제 삼는 것은 우리 당국이 언론을 통제해야 한다는 억지”라고 반박했다.
한편 북한은 이날 국방위원회 정책국을 내세워 미국의 B-52 전략폭격기가 서해 직도상공에서 훈련한 것과 ‘김정은 신발 신고 애육원 방문’ 등을 비판한 남한 언론 보도 등을 거론하며 “최고 존엄을 헐뜯고 우리의 체제에 대한 비방중상이 계속되는 한 이룩된 합의 이행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이라고 위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