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북한, 아직 無반응”…중대조치 後 반응?

통일부는 개성공단 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 실무회담 제의에 북한이 아직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례 브리핑에서 “아직까지 북측으로부터 반응은 없다”면서 “개성공단 문제 해결 방안에 대해 북한도 알고 있기 때문에 (해결) 의지가 있다면 시한에 맞게 나올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북측이 실무회담에 대한 입장을 26일 오전까지 회신해 오지 않을 경우 ‘중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며 사실상 최후통첩을 보냈다. 북한이 시한을 넘겨 오후에 반응해 올 수도 있지만,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


김 대변인은 북측이 시한을 넘길 경우와 관련, “회담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회신의 시간을 정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며 “이후에 대해서는 상황을 예단해서 얘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의지가 있다면 공개적으로 제시했던 시한에 맞게 나오길 기대하고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현재까지 북한이 공식 반응을 해오지 않음에 따라 회담 제의에 응하지 않을 것이란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우리 정부가 하루 전 비공개로 면담을 제의했지만, 북한은 문서도 받지 않은 채 거부했다. 그러자 정부는 공개적으로 북측에 대화를 제안함으로써 북측을 압박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한이 우리 정부의 제안을 바로 받아들이면 우리 정부에 굴복하는 모양새로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수용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우리 정부가 밝힌 ‘중대한 조치’가 무엇인지를 확인한 다음 북측의 반응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한 고위 탈북자는 데일리NK에 “바쁜(어려운) 쪽은 한국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중대한 조치’가 어떤 것인지 지켜보다가 반응이 나올 것”이라며 “북한은 잃을 게 없고, 반응한다는 것은 (한국 정부에) 끌려갈 수 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개성공단 노동자들은 농사철이니, 동원시키면 돼 아무런 걱정이 없을 것”이라면서 “중대한 조치가 나온 다음 개성공단에 남아 있는 자산 문제를 가지고 협상하자면서 밀고 당기기를 지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