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일 전날 대북전단 살포를 걸고넘어지면서 2차 고위급 접촉을 비롯한 남북대화 단절 가능성을 주장한 북한을 강하게 비판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통해 “(북한은) 진정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개선을 원한다면 그에 걸맞게 행동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성명은 이어 “북한은 민간의 자율적 전단 살포를 정부가 비호하고 지원한다고 왜곡하고 이를 빌미로 남북대화를 하지 않겠다고 하고 있다”며 “북한은 일방적이고 위협적인 주장으로는 아무 것도 얻을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깨달아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성명은 “나아가 북한이 우리 대통령을 실명으로 비난하고, 국민에 대해 ‘처단’ 운운하는 것은 남북합의와 국제규범상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언동이며, 정부는 우리 국민의 안전에 위해를 가하려는 어떠한 행위에 대해서도 단호히 대처할 것임을 경고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은 고위층 3인을 통하여 제2차 고위급접촉을 10월 말에서 11월 초 사이에 개최하자며 호응했으나, 이후 실망스럽게도 부당한 전제조건을 내세우며 제2차 고위급접촉에 나서지 않고 있다”면서 “소위 그들의 최고 존엄만을 생각하는 비이성적 행태가 국제사회에 어떻게 비추어질 것인지 깊이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제2차 남북 고위급 접촉이 사실상 무산됐다고 언급했지만, 향후 개최 가능성에 대해서는 여지를 남겨뒀다.
임 대변인은 논평 이후 ‘정부에서 다시 한 번 북한에 날짜를 제안할 가능성 있느냐’는 질문에 “2차 남북 고위급 접촉은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현재 정부가 별도의 대북조치를 할 계획은 가지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이어 그는 “북한의 도발 위협이나 부당한 요구에 대해서는 원칙에 따라 단호하고 일관되게 대처해 나갈 것”이라면서 “앞으로 제2차 남북 고위급 접촉이 개최될지 여부는 북한이 이러한 부당한 전제조건을 철회하는지 마는지 등 북한의 태도에 달려있다고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북한 대남기구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전날 성명에서 “우리의 최고 존엄을 모독하는 삐라살포 망동을 제지하기는커녕 비호·두둔·조장하는 자들과 그 무슨 대화를 하고 북남관계개선을 논의한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다”면서 “남조선 당국은 삐라살포 망동이 계속되는 한 우리와 마주앉아 대화할 꿈도 꾸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특히 조평통은 박근혜 대통령의 실명을 언급하며 비난공세를 폈으며, 대북전단을 살포하는 탈북자단체와 보수단체들을 향한 ‘테러 가능성’을 언급하며 위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