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2일 ‘남북 당국회담’ 성사를 위해 북한에 수정 제의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또 추가적인 회담 제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현재로서는 계획이 없다고 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에 수정제의를 할 계획이 있느냐’는 물음에 “전혀 그런 것은 아니다. 추가적인 회담 제의도 검토한 바 없다”고 답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북한이 (우리 측 수석대표에 대해) 문제를 삼지 않고 성의 있는 입장 변화를 보인다면 언제든지 열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우리 측 수석 대표에 이의제기를 하지 않는다면 회담에 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당국자는 실무접촉에서 우리 측이 당국회담에 김양건 통일전선부장이 나올 것을 고수하지 않다면서 “우리가 통일부 장관이 나설 수 있으니 그에 걸 맞는 상대가 통일전선부장이 아니겠느냐로 예를 든 것”이라고 밝혔다.
당국자는 이어 “김양건이 어렵다면 그 정도의 권한과 위상이 있는 인물이 여럿이 있다. 다른 정치국 후보위원 중에 한 명이 나올 수도 있는 것”이라면서 “특정인을 고집했다기보다는 권한과 책임 있는 인사가 나올 것을 실무접촉에서 여러 차례 요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국자는 북측이 대표단 단장으로 장관급 인사가 아닌 조평통 서기국장을 보낼 것으로 판단하고 우리 측도 그에 상응하는 차관으로 결정하게 됐다며 차관을 수석대표로 내세운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조평통 서기국을 우리 조직과 굳이 비교한다면 민주평통을 지원하는 사무처 정도의 권한과 역할을 하는 것”이라며 “그런 기구의 장이 장관의 상대로 걸맞으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권한과 역할이 없으면 메신저 역할만 할 뿐이며, 권한이 있으면 협의하는 수준이나 질(質)이 달라진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당국자는 “새로운 남북관계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는 하나의 과정에 오늘 같은 진통이 따른 것”이라면서 “남북 당국회담을 통해 남북 간 현안을 협의·해결하는 노력을 할 것이며 그런 노력에 북한이 호응해 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통일부는 이날 오전 9시와 오후 4시 두 차례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북측에 전화통화를 시도했으나 북측이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번 ‘당국회담’이 무산된 데 대한 불만을 우회적으로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