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북 식량지원 분배투명성 노력”

미국의 한 민간단체가 대북 지원 식량의 분배투명성에 의혹을 제기한 가운데 우리 정부는 3일 “1995년 북한에 쌀을 첫 지원한 이후 북한내 식량 분배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김홍재 통일부 대변인 명의의 보도자료를 통해 “정부는 남북협상과정에서 분배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면서 “이를 위해 ‘남북간 식량차관 합의서’에 분배현장 확인 사항을 명기하고 우리 인원이 직접 북한 지역의 분배 현장을 방문해 분배 과정을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또 “우리 정부는 북측에 분배투명성이 확보돼야 식량지원이 가능하다는 점을 꾸준히 강조해 오고 있고 북측도 이에 수긍.협조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는 이어 “올해는 예년에 비해 분배현장 확인 장소와 횟수를 크게 확대함으로서 분배투명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게됐다”면서 “정부는 앞으로도 우리가 지원하는 식량이 북한 주민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분배투명성을 강화하는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쌀과 옥수수 도합 50만t이 지원된 2000년에 한차례 분배현장을 확인한 데 이어 2003년 12차례, 2004년엔 10차례 현장확인 작업을 벌였으며 쌀 50만t이 지원될 올해는 현장 확인 횟수를 20차례로 대폭 확대했다.

정부의 이번 발표는 1일 미국의 미국북한인권위원회(UCHRNK)가 ‘한국의 대북 직접 식량지원은 북한 정권의 식량난 자구 책임을 회피하게 할 뿐 아니라 국제사회가 원조한 식량의 분배투명성을 방해하는 결과를 빚고 있다’고 주장한데 대한 반박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