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개성공단 안정적발전 의지 불변”

정부는 31일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들과 간담회를 갖고 남북관계 긴장 고조에 따른 북한 내 우리 국민의 신변안전 확보 방안 등을 협의했다.

홍양호 통일부 차관은 이날 서울 정부중앙청사 인근 식당에서 개성공단기업협회 김학권 회장 등 입주기업 대표 및 관계자 5~6명과 오찬을 겸한 간담회를 개최, 북한의 군사적 도발 등으로 남북관계에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의 신변안전 대책 등을 논의했다고 통일부가 전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간담회 내용과 관련, “현재 남북관계 상황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을 기업들과 공유했다”며 “무엇보다 개성공단 체류 인원의 신변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데 대해서도 이견이 없었다”고 전했다.

그는 또 “정부는 개성공단을 안정적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의지에 변함이 없음을 강조했다”고 전한 뒤 “상황이 좋지 않지만 현재로선 개성공단 체류인원을 강제로 줄일 계획은 없다”며 “기업들이 각자 판단, 필요한 최소한의 인원을 체류시킬 것을 권고하는 입장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입주기업 측은 남북간 긴장고조로 인해 기업들이 상당한 영업 피해를 보고 있다면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참석한 개성공단기업협회 유창근 부회장은 “수주량 감소, 북핵 위험지수 상승과 맞물린 금융상의 불이익 등 기업들의 어려운 사정을 설명했다”며 “기업활동 외적 요인으로 어려움에 처한 만큼 정부가 대책을 세워줄 것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또 입주기업 ㈜에스엔지의 정기섭 대표는 “현재 남북경협보험제도에 따르면 기업들이 남북관계 악화로 인한 경영난을 견디지 못해 철수할 경우 보험에 따른 손실보전을 받기 어렵게 돼 있다”고 소개한 뒤 “기업들로선 `퇴로’가 없는 셈”이라며 “경협보험제도를 보다 유연하게 운용할 것을 정부측에 제안했다”고 전했다.

배석한 이임동 개성공단기업협회 사무국장은 “남북관계가 군사적 충돌을 우려할 만큼 악화됐지만 남북관계의 앞날을 생각해서라도 개성공단 사업과 같은 경제교류의 끈은 이어가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말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