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6자회담이 미국에 대한 북한의 반발로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22일부터 이뤄지는 박봉주 총리의 중국방문 행보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박 총리는 북한의 언론보도에는 나오지 않지만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군부대 시찰까지 자주 동행할 정도로 김 위원장의 전폭적인 신임을 받고 있는 ‘드러나지 않은 실세’로 알려지고 있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초청으로 이뤄진 이번 박 총리의 방중은 북중간 경제협력문제를 논의하는 데 주목적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그러나 중국측은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의 방중 결과 등을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라이스 국무장관이 북한을 ’주권국가’로 지칭하면서도 중국에서 북핵문제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 가능성까지 언급한 상황이라는 점에서 북측의 반응이 주목된다.
또 한국과 미국, 일본 등 6자회담 참가국들이 중국 역할론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국측이 국제사회에서의 입지 확보를 위해 북한에 전달할 조언내용도 관심이 모아진다.
이 고위 당국자는 다만 “중국측이 라이스 장관의 방문결과를 박 총리에게 전달할 수는 있겠지만 북중간에 핵문제에 대한 조율이 이뤄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박 총리의 소관업무가 핵문제는 아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는 북중간 경제협력문제, 특히 중국의 대북지원문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미국의 입장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중국의 입장에서도 미국의 입장과 국제사회의 우려를 무시하고 경제적 대북지원을 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며 “지원문제를 논의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북한의 6자회담 복귀 등을 요구하게 될 것이라는 점도 주목된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주목되는 것은 김 위원장의 신임을 받고 있는 박 총리가 핵문제를 직접 중국측과 조율하지는 못하더라도 메신저 역할은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이 관계자는 “박 총리의 방중 기간 중국측이 북측에 어떠한 내용을 전달할지 주목된다”며 “하지만 박 총리가 북한으로 귀환한 뒤 북측이 보일 반응이 더 큰 관심대상”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박총리 방중 이후 중국과 어떠한 논의과정을 거쳐 6자회담 재개에 어떻게 입장을 정리할 것인지 주목되는 상황이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