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판까지 불투명했던 정동영(鄭東泳) 통일부 장관과 북한 최고지도자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면담이 17일 전격적으로 성사됐다.
북한 당국은 6.15 민족통일대축전 마지막날인 이날 오전 남측 정부대표단의 평양 출발 직전에 정 장관을 면담하겠다는 김 위원장의 뜻을 전한 것이다.
김 위원장이 정 장관의 면담을 받아들인 것은 몇 가지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무엇보다 현재 중대국면에 처한 북핵 문제와 지난 1년여동안 중단 상태에 있었던 남북 당국간 관계의 향방과 관련해서 그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정 장관과 김 위원장의 면담이 성사됐다는 것은 우선 북핵 문제와 관련해 김 위원장이 모종의 전략적 결단을 굳혔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 부시 미 행정부의 2기 출범이후 미국의 대북 정책의 흐름을 예의주시해오던 김 위원장이 지난 10일(현지시간) 워싱턴 한미정상회담에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이 북한의 핵무기 불용과 함께, 평화적.외교적 해결원칙을 재확인하는 한편, 핵포기시 북-미간 ‘보다 정상적인 관계’를 맺어나갈 의향이 있음을 밝힌 것을 계기로 6자회담을 통한 해결 쪽으로 마음을 굳힌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이런 관측이 맞을 경우, 김 위원장은 이날 면담에서 정 장관에게 북한의 6자회담 복귀 의지를 피력할 가능성이 적지 않은 것으로 점쳐진다.
물론 그렇지 않고 정 장관이 전하는 노 대통령의 메시지를 조용히 경청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이와 관련해 김 위원장에게 보내는 노 대통령의 친서가 있는 지, 있다면 정 장관이 전달할 노 대통령 친서의 구체적 메시지가 무엇일 지도 주목되고 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