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전 세계 누구나 남·북 정상회담을 모바일로 실시간 시청할 수 있다고 밝혔지만 정작 회담 당사국인 북한 주민들은 가능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윤영찬 청와대 대변인은 22일 “언론과 전 세계 누구나 모바일(이동통신수단)을 통해 회담 관련 모든 것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온라인 플랫폼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북한의 약 370만 명(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2017년 ‘북한 내 휴대폰 이용현황’ 보고서)의 휴대전화 가입자들은 북한 모바일 통신 기술의 한계로 인해 남·북 정상회담을 시청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2017년 발표한 ‘북한 유무선 통신서비스 현황 및 시사점’에 따르면 “북한 내 사용 이동전화에서는 대체로 초기형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평양에서 컴퓨터를 인터넷을 접속할 때 전송속도는 70~80Mbps, 지방은 10Mbps 속도로 한국의 2000년대 수준인 것으로 파악된다”고 덧붙였다.
북한에서 인터넷에 접속할 권한을 가진 사람이 많지 않을 뿐더러 접속하더라도 통신 환경이 열악해 생중계로 정상회담을 시청하기 어려워 보인다.
만약 북한 당국이 주민들도 접속 가능한 인트라넷에 정상회담 생중계 환경을 구축한다고 해도 원활한 생중계를 위한 데이터 전송속도가 나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북한의 유선 통신 환경이 한국의 2000년대 수준인 것으로 미뤄보아 무선 통신환경은 더욱 열악할 것으로 예측된다. 북한은 3세대 이동통신 기술(3G)을 사용하고 있지만, 음성, 데이터 통신 등 다양한 부분에서 음영지역이 발생해 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한국은 4세대 이동통신 기술(4G)을 사용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5세대 이동통신 기술(5G)을 상용화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한편, 북한 주민들이 남·북 정상회담을 TV로 시청할 수 있을지도 불투명하다. 남북은 정상회담을 생중계하기로 합의했지만, 북한이 주민들을 대상으로 생중계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이와 관련 김정일 시대 북한은 회의, 열병식 등 주요 행사를 녹화로 방송했다. 당시 북한이 녹화 방송을 고집한 이유는 김정일이 동선 노출을 꺼리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또한, 방송사고의 위험을 줄이고 철저히 계획된 선전을 하기 위해 녹화방송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2000년 1차 때와 2007년 2차 남·북 정상회담 당시 북한 조선중앙TV는 김정일과 대한민국 대통령의 만남을 생중계하지 않았다.
그러나 김정은이 집권한 이후에는 일부 행사들이 생중계로 방송된 바 있다. 지난 16일 김정일 생일을 기념하기 위한 불꽃놀이가 조선중앙TV, 조선중앙방송, 평양 방송을 통해 생중계되었다. 그리고 2014년 7월 8일 김일성 주석 20주기 중앙추모대회 생중계 때는 김정은이 다리를 쩔뚝이며 주석단에 입장하는 모습을 그대로 내보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이 같은 북한의 변화를 두고 남북정상회담이 생중계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김정은이 정상국가화 선전을 위해 파격적으로 일부러 TV 생중계를 지시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