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별상봉 눈물바다…北가족 “통일되면 다시 만나자”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에서 열린 제20차 이산가족 1차 상봉이 22일 끝났다. 65년 만에 가족들을 만났지만 짧은 만남에 못내 아쉬워 이산가족들은 이별하며 오열했다.

북측 남철순(82) 씨는 ‘작별상봉’에서 여동생 순옥(80) 씨의 손을 꼭 잡으며 “우리 통일되면 가족들이 다 같이 큰 집에서 모여 살자. 이런 불행이 어디 있니”라며 이별을 애달파했다.

남측 이춘란(80) 씨도 언니 리란히(84) 씨에게서 시선을 떼지 못하며 “내가 열다섯에 언니랑 헤어져서 오늘 겨우 만났는데 헤어지면 언제 만나려고…”라고 슬퍼했다.

북측 최고령자로 상봉장을 찾은 리흥종(88) 씨의 딸 이정숙(68) 씨는 아버지 무릎에 얼굴을 묻고 울음을 그칠 줄 모르면서 연신 아버지를 불렀다.

흥종 씨 동생인 이흥옥(80) 씨도 오빠의 손을 꼭 잡고 “오빠 어떡해…”만 연신 되뇌며 이별을 아쉬워했다. 흥종 씨와 함께 상봉장을 찾은 북측의 아들 리인경(55) 씨는 손수건으로 눈물을 계속 닦으며 “또 만나자. 통일되면 그 때 또 만나자”고 말했다.

결혼한 지 7개월, 아들을 임신한 채로 남편과 헤어져 65년 만에 만난 이순규(85) 씨는 북측 남편 오인세(83) 씨에게 “왜 자꾸 눈물을 흘려”라면서 되레 말을 잇지 못하는 남편을 위로했다.

아버지의 얼굴을 보지 못했던 뱃속의 아들로 환갑을 넘긴 오장균(65) 씨도 인세 씨를 포옹하며 “또 만나요. 아버지”라고 말하며 이별을 아쉬워했다. 순규 씨는 “건강하슈, 오래 사슈…”하며 남편의 넥타이를 만져줬다.

북측 누나인 박룡순(82) 씨를 만난 박용환(75) 씨는 “65년 전의 이별이 이렇게 길어질지 몰랐어. 그땐 이렇게 될지도 모르고 울지도 않았어. 그런데 이제 또 이별해야 해”라고 말하며 눈시울을 붉혔다.

용환 씨는 룡순 씨를 업고 “어렸을 적 누님이 항상 이렇게 업어줬는데 이젠 내가 해”라고 말하며 테이블 주변을 한 바퀴 돌았다. 다른 동생 박용득(81) 씨는 “누님, 내가 내 차로 북으로 보내줄게. 그러니 오늘은 우리 같이 서울 가자. 2,3일 같이 자고 가자”며 떼를 쓰기도 했다. 북측의 조카가 “통일되면 만날 수 있어요”라고 말하자 용득 씨는 “내 가족 우리집 데려오겠다는데 왜 안 되냐”며 울분을 터뜨렸다.

북측 상봉단이 버스에 타자 남측 가족들은 자기 가족들이 있는 버스를 찾아 울부짖으며, 창밖으로 내민 손을 붙잡기도 하고, 창을 두고 손을 마주 붙이며 짧은 만남의 애통함을 쏟아내기도 했다.

이후 한국으로 귀환한 정숙 씨는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이 더 클 것 같아 어떻게 견뎌야 할지 모르겠다”며 “지금도 아버지가 옆에 계시는 것 같다”며 눈물을 훔쳤다.

순규 씨도 “죽은 줄만 알았던 남편을 만나 무엇보다 기뻤다. 모습은 많이 변해 있었지만 가슴속 깊이 맺혀있던 한을 풀어 여한이 없다”면서 “앞으로 건강하게 오래 오래 살라고 했다”고 밝은 모습을 보였다.

한편 24∼26일 진행되는 2차 상봉에서는 북측 상봉 대상자 255명이 남측 가족 90명을 만날 예정이다.

이상용 기자
sylee@uni-medi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