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나라당 임태희 원내 수석부대표는 14일 통일외교통상위에서 북한인권결의안 촉구 결의안 상정이 무산된 이후 기자회견을 갖고 “북한인권 문제제기는 북한의 연착륙을 돕기 위한 방안의 하나”라며 “한반도의 장기적 관점에서의 평화를 위해서도 국회는 제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임 부대표는 “지난 주말에 결의안 상정을 위해 양당 간사간 협의를 가졌으나, 합의가 안됐다”면서 “상임위가 열리지 않으면 거론 자체도 힘들기 때문에 일단 결의안을 제외하고 의사일정을 잡았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통외통위 소속 한나라당 의원들의 ‘집단 퇴장’이 촉구 결의안 상정에 부정적인 열린우리당 의원들을 압박하기 위한 조치였음을 시사했다.
그는 “김정일 체제는 변화할 수밖에 없으며, 그 역사의 마지막을 쓰고 있다”면서 “김정일 체제의 변화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어 “인권문제로 남북관계가 어려워지면 북한을 설득하고, 옳고 그름에 대한 일관된 원칙을 가져가야 한다”고 말했다.
나경원 의원은 “열린우리당이 북한인권결의안 상정 논의조차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나 의원은 “다른 법안은 시항이 정해져 있지 않지만, 대북인권결의안은 17일 이후에 총회에서 표결될 예정”이라면서 “시간이 없는 만큼 열린우리당이 18일 통외통위에서 다뤄질 수 있도록 검토해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나 의원은 촉구 결의안 본회의 직접 상정에 대한 물음에 직접적인 언급을 피한 뒤 “열린우리당이 이렇게 나올 경우 다른 방법이 없다”며 열린우리당의 자세변화를 촉구했다.
신주현 기자 shin@dailyn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