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17일 오전 북한이 인수위 기자실 인터넷 서버를 대상으로 해킹을 시도한 흔적이 발견됐다고 밝힌 것을 이날 오후 번복했다.
인수위 관계자는 “기자실의 해킹 위험성에 대해 대비해야 한다는 차원의 발표였다”면서 “북한 소행이라는 것은 확인되지 않은 내용”이라고 밝혔다. 이어 “해킹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보니까 가능성 차원에서의 경고가 전달과정에서 잘못 전해졌다”고 덧붙였다.
이날 오전 이원기 인수위 대변인 행정실장은 “우리 측 정보당국에서 최근 인수위 내부에서 보안점검을 한 결과 북측 소행으로 추정되는 해킹의 흔적이 포착됐다”며 “기자실만 해킹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었다.
일각에선 인수위가 정보당국을 통해 북한의 해킹시도 흔적이 포착됐다고 밝혔다가 몇시간 만에 이를 번복해 석연치 않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현재 북한의 소행이라고 확신할 수 없지만 새롭게 출범하는 한국 정부의 대북 정책 등 주요 정책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해킹을 시도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지적한다.
유동열 치안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이날 데일리NK에 “북한 소행이 사실이라면 한국에 새로운 정부가 등장하기 때문에 북한 사이버공작부서가 관련 정보를 빼내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면서 “특히 최근 인수위는 외부에 제공하는 정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더욱 그런 필요를 느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수위측은 기자들에게 추가 피해 방지 차원에서 컴퓨터 암호를 수시로 바꾸고 바이러스 검사도 자주 해달라고 당부했다. 인수위는 이번 해킹이 북한 측 소행이라는 근거에 대해서는 오후에 브리핑을 통해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16일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는 지난해 6월 8일 발생한 중앙일보 해킹 사건이 북한의 소행으로 확인됐다고 밝힌 바 있다. 북한은 그동안 2009년 7·7 디도스 공격, 2011년 3·4 디도스 공격, 농협 전산망 해킹과 고려대 이메일 악성코드 유포 등 사이버테러를 지속적으로 시도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