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는 28일 김대중 전(前) 대통령이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시민단체 등이 민주연합을 결성, 이명박 정부의 역주행을 저지하는 투쟁을 한다면 성공할 것”이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 “전직 대통령으로서 금도를 벗어난 발언”이라고 정면 비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5역회의에서 “어떻게 전직 대통령이 야당과 시민단체에 대해 반정부 투쟁을 선동하는 발언을 할 수 있느냐”며 “전 정권이 잘하고 못하고를 떠나 이런 언동은 전혀 도움이 안 된다. 전직 대통령답게 점잖게 처신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김 전 대통령이 “이명박 정부의 ‘비핵·개방·3000’ 정책은 부시 미 대통령의 실패한 정책을 답습했기 때문에 성공할 수 없다”고 말한 것에 대해서도 “비핵, 개방 자체도 부정한 것이냐”며 “전직 대통령으로서 있을 수 없는 지극히 개탄스런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전날인 27일 최근 평양을 다녀온 강기갑 대표와의 면담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의도적으로 남북관계를 파탄내고 있다”며 현 정부의 대북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이 총재는 이날 불교방송 라디오 ‘김재원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인권 문제는 자유민주주의가 양보할 수 없는 핵심적 가치이기 때문에 북한의 기분을 달랜다는 정치적 고려 때문에 양보하고 타협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우리 정부가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해 북한이 더욱 거세게 반발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인권결의안 문제는 과거 정부에서 기권을 했을 때 많은 국민들 사이에서 비판이 많았다”며 “대북정책 기조는 당연히 인권 문제에 기초를 두어야 한다”고 말했다.
대북특사 문제에 대해서는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밝히고 “지금 특사로 거명되는 특정인과 관계없이 대북특사를 보내자는 말 자체가 현재의 남북문제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저도 대화를 닫아버리고 봉쇄 대결로 나가자는 것은 아니지만 대화라는 것은 상호간 진정한 의미를 마음을 열고 나누는 것을 말하는 것이지 우리가 죽겠으니까 제발 대화 좀 하자고 매달리는 식의 대화는 진정한 대화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한편, 그는 개성공단이 폐쇄 가능성에 대해 “이러한 위험성은 김대중 정권 시절 북한에 투자를 할 때부터 어떤 면에서는 예견되어 있었던 것”이라며 “당시 저는 남북관계 교류를 확산하는 것은 좋지만 안전에 대한 것은 확실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었는데 결국은 이런 사태가 온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 개성공단을 중단하면 물론 우리 기업들에게 피해가 크지만, 그렇다고 해도 우리가 남북관계의 원칙을 바꿔 북한의 요구대로 다 들어준다고 하면 소탐대실하는 것”이라며, 다만 “만약 개성공단 중단과 같은 사태가 왔을 때 그분들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