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정 “北 HEU 프로그램 추진 정보 없다”

▲ 21일 국회 통외통위에서 이재정 장관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21일 “북한이 HEU(고농축우라늄) 프로그램이 있다고 하는 어떤 정보도, 또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는 정보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통일외교통상위원회에서 최재천 의원이 김만복 국정원장의 ‘HEU 프로그램이 존재한다’는 전날 정보위 발언 보도에 대해 ‘오보’라고 주장하자, 이 장관은 “전적으로 공감한다”며 “국정원장의 발언에 대한 진의도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보도된 것으로 본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장관은 국정원의 진의가 왜곡됐다고 말했지만, 결과적으로 전날 김만복 국정원장이 “북한이 HEU(고농축우라늄) 프로그램이 존재한다”고 보고한 것과 배치되는 것이어서 주요 사안에 대한 정부 입장이 갈팡질팡 한다는 지적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이날 통외통위에서는 다음 주 개최될 남북장관급회담에 대한 의원들의 당부가 이어졌다. 특히, 통일부가 인도적 지원 재개 계획을 밝힌 것과 연계해 북한의 인권문제를 적극 제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여당 의원들의 입을 통해 나와 주목을 끌었다.

정의용 열린당 의원은 “이번 장관급 회담에서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와 남한의 불신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이 시행되어야 한다”면서 “북한인권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구체적 조치를 취한다든지, 경협의 투명성을 높이는 노력, 또는 일본의 납치문제에 대한 가시적 조치를 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전달하는 회담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임종석 열린당 의원은 “장관급회담에서 인도적 사안에 대해서는 쌍방간의 정치적 지렛대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원칙을 수립해야 한다”며 “북측도 납북자, 국군포로, 이산가족 문제 등의 정치사안과 분리해서 처리하자는 합의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해봉 한나라당 의원도 “이번 회담에서 인도적 지원과 북한의 인권문제를 연계해 제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 장관은 “납북자, 국군포로 문제가 논의가 되어야 한다” “생존권도 인권”이라는 답변을 통해 북한 인권 문제 제기에 대해서 구체적인 답변을 꺼렸다.

또한 정몽준 의원이 “북한의 최근의 대선 개입은 ‘내정간섭’이라는 공식적인 입장을 전달해 달라”고 말하자, 이 장관은 “남북관계에 도움이 안 된다는 의사를 전달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한편, 이날 이 장관은 김용갑 한나라당 의원이 ‘북한의 설 연휴 기간이 5일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냐?’는 질문에 자신있는 목소리로 “모른다”고 답해 우스운 광경이 연출되기도 했다.

이에 김 의원이 “언론에 크게 나왔는데 정말 몰랐냐”고 재차 질문하자 “연휴 기간 동안 축제를 열었다는 소리는 들었지만 5일이라는 것은 몰랐다”고 거듭 답해 김 의원도 고개를 설래설래 흔드는 광경이 연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