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정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17일 “北 인권 상황에 대해 보고된 모든 내용을 사실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어렵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통외통위 인사청문회에 출석, 한나라당 박진 의원이 미국의 민간단체인 ‘북한인권위원회’의 北인권보고서를 인용, “북한의 정치범 수용소, 기아문제, 탈북자 등의 문제가 심각하다는 보고가 있다”고 말하자 “대략 알고 있는데 북한 사회에 대한 평가를 할 때 어떤 과정을 거쳐 정보를 수집하고 검증했는지가 중요하다”며 이같이 답했다.
박진 의원이 재차 “개연성이라도 있지 않느냐”고 따지듯 묻자 그는 “개연성에 대해서도 함부로 이야기 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답변을 회피했다.
또 박의원이 “북한의 고문, 공개처형, 탈북자 문제, 여성인권 침해, 여행 제한, 외국인 납치 등 국제적인 반인륜 범죄에 대한 보고도 있다”고 말하자, 이 후보자는 “민주화된 나라들도 그와 유사한 경험을 한 국가들은 꽤 많다”며 “다만 북한의 경우 검증할 과정이 없기 때문에 사실이다, 아니다 말할 수 없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나라도 과거 인권침해가 있었고 무수한 사람들이 고난과 어려움을 당했으며 전 세계적으로도 인권침해가 있었다”며 “전세계가 경험한 인권침해 과정이 많은데 확증되지 않은 것을 가지고 이렇다 저렇다 할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 후보자는 또 “북한에 종교의 자유가 있느냐”는 박 의원의 질문에 “북한도 종교의 자유를 위해 시도하고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변했다.
그는 또 “북한에 러시아 종교도 들어오고, 교회를 짓고 하는 것 등은 결국 하나님의 역사가 이뤄지고 있는 것을 반증한다”며 하나의 발전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박진 의원이 언급한 보고서는 법무법인 DLA 파이퍼와 비정부기구(NGO)인 미국북한인권위원회에 요청에 따라 노벨평화상 수상자 엘리 위젤과 바츨라프 하벨 전 체코대통령, 쉘 마그네 본데빅 전 노르웨이 총리에 의해 작성돼 지난달 발표돼, 북한당국에 의한 인권탄압의 심각성을 전세계에 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