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진보당 중앙당기위가 19대 국회 개원을 이틀 앞두고 경선 비례대표 후보자에 대한 제명절차에 들어갔지만, 이석기·김재연 당선자의 국회 입성 및 의원직 유지에는 별 다른 영향을 주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의원 임기는 30일 시작된다.
중앙당기위는 혁신비대위의 경선 비례대표 후보자들의 제명 제소에 따라 28일 오후 첫번째 회의를 열고 이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이 자리에서 중앙당기위는 이·김 당선자의 징계 심의 관할을 서울시당기위로 결정할 예정이다. 두 당선자는 제명을 피하기 위해 서울시당에서 당권파가 많은 경기도당으로 당적을 옮기는 ‘꼼수’를 부렸다.
하지만 서울시당기위에서 제명절차가 들어간다 해도 오는 30일이면 이·김 당선자는 국회의원직을 갖게 돼 이들을 제명하기 위해서는 정당법상 규정을 따라야 한다. 정당법 제33조에 따르면 정당이 소속 국회의원을 제명하기 위해서는 당헌이 정하는 절차를 거치는 외에 그 소속 국회의원의 1/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전교조 위원장 출신인 정진후 당선자와 녹색연합 사무처장 출신의 김제남 당선자는 중립으로 분류되고 있어 이·김 당선자 제명에 대한 ‘키(key)’를 쥐고 있다. 하지만 정진후, 김제남 당선자 중 한 명이라도 구당권파의 손을 들어주면 이·김 당선자는 국회의원 신분을 보장받게 된다.
이렇게 될 경우 1990년대 후반까지 활동한 지하혁명조직인 민족민주혁명당(민혁당) 핵심간부 출신이 대한민국 입법기관에 들어가는 초유의 사태를 맞게 될 수도 있다. 그는 민혁당 경기남부위원장으로 조직 서열 ‘5위’ 정도였지만, 97년 민혁당 총책인 김영환 씨가 당 해체 선언을 한 이후에는 재건 총책 하영옥과 함께 서열 ‘2위’로 활동했다.
그는 99년 민혁당 사건 발생 이후 3년간의 수배생활 끝에 2002년 구속 수감된 후 2003년 8·15특사로 출소했지만, 과거 활동에 대해서는 부인으로 일관해오고 있다. 이후 인터넷 매체인 민중의소리 이사와 여론조사 기관인 사회동향연구소 대표 등을 맡아왔다.
이 때문에 그가 과거 민주노동당 시절 당내에서 드러나지 않은 인물이었지만, ‘경기동부연합’의 핵심이라는 게 당 안팎의 정설이다.
과거 민혁당에서 활동했던 한 관계자는 데일리NK와 통화에서 이석기 당선자의 국회 입성에 대해 “이정희와 달리 핵심인물이 들어가 자기의 정치세력을 구축해 자신들의 목표를 보다 더 확실히 하면서 종국에는 연방제 통일을 주장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당장은 종북세력에 국가기밀 노출 우려가 현실화되는 것이고, 또한 대북정책, 북한 문제에 있어서도 유화적이고, 남북화해 정책을 유도할 것”이라면서 “종국에는 한국 내 광범위한 지지세력, 정치권력을 구축해 북한 중심의 통일을 지향하게 만들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