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등의 문제 해결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을 조만간 북한에 제의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27일 “이번 상봉이 끝나고 다시 실무접촉을 하기로 했기 때문에 제안 시기를 검토하고 있다”면서 “우리가 (먼저) 제의할 생각이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조만간 적십자 실무접촉이 열리면 생사확인을 비롯한 추가 이산상봉과 정례화 문제를 북한과 협의할 계획이다.
당국자는 이어 “이산가족 문제를 풀기 위한 방안을 포함해서 전면적인 생사 확인, 상봉 정례화, 국군포로 및 납북자 문제 등 포괄적 협의를 진행할 계획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다음 주 중 북한에 실무접촉을 위한 적십자회담을 제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남북은 지난 5일 적십자 실무접촉에서 20∼25일 이산가족 상봉 행사 개최에 합의하면서 추후 접촉을 이어가기로 한 바 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26일 정례브리핑에서도 “정부는 이번 상봉 행사를 시작으로 해서 앞으로 더 많은 이산가족들이 상봉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며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문제에 협조해 나오기를 바란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지난 25일 금강산 이산가족 작별상봉에서 남측단장인 김종섭 한적 부총재는 북측 리충복 단장에게 “기다리는 분들이 많다. 시급한 문제”라며 상봉행사 정례화를 촉구했지만 북측 리충복 단장은 “북남 관계를 한 단계 더 발전시켜야 한다”고만 답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