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차 남북장관급회담에서 8.15에 즈음한 이산가족 화상상봉 개최에 합의한 이후 29일 개성에서 남북간 기술자 실무접촉이 개최되면서 화상상봉의 방법과 규모가 관심사가 되고 있다.
남북은 이날 개성 자남산여관에서 열린 기술자 접촉에서 정보통신시설 현황을 비롯한 화상상봉을 위한 기술적 문제에 대해 의견을 주고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다음 달 10일께로 예정된 실무접촉에서 상봉 규모와 구체적인 시기 및 방법 등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유력하게 거론되는 상봉방법은 위성이나 광통신을 이용하는 것이다.
정동영(鄭東泳) 통일부 장관도 지난 27일 국회 통일외교통상위 전체회의에서 “남북간 인트라넷 방식으로 광통신을 연결하거나 위성통신을 통해 서울-평양 간에 시범적으로 하거나 지방과 지방 간에 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중 위성을 이용하는 방식은 추가 준비가 많이 필요하지 않아 시간적 여유 없이도 추진이 가능하지만, 광케이블 활용법의 경우 남북이 이를 연결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그러나 광케이블 연결도 개성공단 통신공급을 위해 설비구축 작업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진 만큼 크게 어려움은 없을 전망이다.
정부 관계자는 “종전 전화선은 남북 간에 연결된 게 있지만 광케이블은 아직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안다”면서 “현재 우리측 광케이블은 판문점까지 들어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북측 상황은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우리측은 전용회선을 활용한 광통신 화상상봉의 경우 한꺼번에 많은 가족의 상봉이 가능하고 시스템 안정성도 높으며 비용도 적게 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위성 화상상봉보다는 좀 더 무게를 두고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상봉 장소는 일단 대한적십자사(한적)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통일부 당국자는 “한적이 지방에 지사가 있기 때문에 간단한 시설만 설치하면 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장기적으로 서울을 포함한 전국 주요 10개 도시에 화상상봉 장소를 마련, 주거지에서 가까운 장소에서 상시적인 상봉기회를 제공하자는 아이디어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화상상봉의 규모는 아직 북측과 구체적으로 협의되지 않은 상태지만 우리측에서는 상봉 대상이 많을 수록 좋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화상상봉이 8.15를 즈음해 열리는 점을 감안, 815명에게 상봉기회를 주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상봉대상 선정을 위해서는 북측과의 자료교환을 통해 생사를 확인하는 작업이 뒷받침되어야 하는 만큼 이번 첫 화상상봉에서 대규모 상봉이 이뤄지기는 힘들 것으로 보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