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선후보 검증청문회 직후 ‘포지티브’ 전략을 전면에 내세웠던 한나라당 이명박-박근혜 두 경선후보가 안면을 바꾸고 있다. 정책홍보는 온데 간데 없고 ‘네거티브’공세가 한층 강화된 양상이다.
양측은 모두 “검증 청문회에서 드러난 상대방의 의혹은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자신에 대한 공세에 대해서는 ‘네거티브’라고 규정하는 양면성을 보인다.
경선을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서 박 후보 측의 ‘검증’공세는 충분히 예상된 것이었다. 하지만 갈 수록 집안싸움이 유혈이 낭자한 전투로 변모하고 있다. 급기야 제주 합동 토론회에서는 지지자들간 충돌까지 벌어졌다. 대변인들은 하루 종일 상대 후보 흠집내기용 논평을 무수히 토해낸다.
김재원 대변인은 지난 20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그 동안 제기된 ‘의혹’과 관련한 미진한 부분에 대해서는 캠프 차원에서 꾸준히 문제 제기할 것”이라며 의혹 확인 수준의 공세를 표명했다. 박 후보의 자중 지시도 있었다.
검증청문회가 끝난지 일주일이 채 지나지 않았지만 박 후보 캠프가 내세웠던 후보 이미지 띄우기와 정책 제시 등의 ‘포지티브’ 전략은 눈에 띄지 않는다. 본말이 전도된 것이다.
급기야 24일에는 박 후보가 직접 후보 연설회 ‘잠정중단’을 결정한 지도부를 겨냥해 “이명박 편들기”라고 몰아 부쳤다. 최근 여론조사를 통해 대의원과 당원 지지율에서 이 후보와 격차가 벌어진 것에 따른 위기감에 작용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검증’공세에 ‘무대응’을 선언하며 정책 선거에 적극적이었던 이 후보 측 역시 최근에는 박 후보에 대한 ‘검증’공세를 강화하는 양상이다.
검증청문회에서 드러난 ‘전두환 6억원 생계비 지원’ ‘성북동 고급주택 무상 수수’ ‘516 구국혁명’ 등을 집중 추궁하고 있다. 이에 대해 24일 차명진 의원 등은 기자회견을 통해 “무슨 자격으로 국민에게 깨끗하다고 하고 무슨 기준으로 원칙을 말할 수 있냐”고 비판했다.
이들은 “박 후보가 도덕적으로 지탄받아 마땅한 많은 일들에 직∙간접적으로 연루됐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은 마치 도덕적으로 청결한 척 행세하고 상대방에겐 검증을 빙자해 네거티브 공세를 펼치는 것을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며 해명을 촉구했다.
진수희 대변인은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네거티브 공세가 아니냐”는 질문에 “의혹제기가 아니다. 이것은 팩트(Fact)다”면서 “청문회에서 드러난 사실, 박 후보가 인정한 사실을 지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 후보 캠프 관계자들의 직설화법을 통한 박 후보 깎아내리기는 최근 지지율 격차가 10% 안팎으로 좁혀지자 위기감이 작용한 것이라고 정치권은 보고 있다.
당분간 한나라당 경선에서는 투명한 정책경쟁을 보기 힘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