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북한 함경북도 유치원들에서 월동준비를 명목으로 어린이들에게 세외부담을 떠넘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함경북도 소식통은 14일 데일리NK에 “이달 들어 청진시 유치원들에서 월동준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면서 “그런데 월동준비를 명목으로 유치원 어린이들에게 세외부담을 전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올해 초 개최된 제8차 당 대회에서 ‘세외부담 행위 척결’을 내건 이후, 세외부담에 대한 당적, 행정적 법적 투쟁을 강화하라고 주문한 바 있다. 하지만 현지에서는 주민들과 학생들, 심지어 유치원 어린이들에게까지 각종 세외부담이 부과되고 있다는 전언이다.
실제 최근 청진시 수남 유치원의 경우, 화목(火木) 구매 명목으로 유치원 어린이 1명당 10만 원을 바치라고 포치(지시)했다. 현지 시장에서 화목 판매가격이 1㎥당 8만 5000원이라고 한다.
이마저도 빨리 가져오는 순위를 정해 평가한다고 압박하기도 했다. 어린이들에게 정신적 고통과 마음의 상처를 주는 일을 벌이고 있는 셈이다.
북한은 어린이들을 ‘나라의 왕’이라고 선전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 정권의 이 같은 주장과 달리 실제 북한 어린이들은 당국으로부터의 정당한 보육 교육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앞서 북한은 지난 6월 1일 ‘국제아동절’을 맞아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국가적인 어린이 보육 교양 제도 아래에서 어린이들이 행복하게 살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하지만 북한 정권의 이 같은 주장과는 달리 현지에서는 국가적 혜택은 전혀 없다는 것이 소식통의 전언이다.
소식통은 “김정은 시대에 들어서는 국가적 혜택은 아예 없어지고, 오히려 어린이 교육을 명목으로 유치원들에서 세외부담을 전가하고 있다”면서 “이에 생활 형편이 어려운 집의 자녀들은 유치원에 가기를 꺼려하기도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