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13일(현지시간)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만장일치로 규탄했다. 안보리는 이날 오후 뉴욕 유엔본부에서 한국과 미국, 일본의 공동요청에 따라 긴급회의를 열고 북한의 도발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회의에 앞서 15개 이사국은 북한의 도발을 비난하고 추가 도발 자제를 촉구하는 내용의 언론성명에 만장일치로 동의했다. 이날 회의는 지난 12일 북한이 중장거리 탄도미사일인 ‘북극성 2형’을 동해상으로 발사한 데 따른 안보리의 공식 대응이다.
안보리는 성명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가 안보리 결의를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고 우선 적시했다. 2006년 이후 채택된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1719호(2006년), 1874호(2009년), 2087호(2013년), 2094호(2013년), 2270호, 2321호(이상 2016년)는 모두 사거리가 짧다고 하더라도 탄도미사일을 발사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성명은 또 북한의 도발이 동북아 정세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고 우려하고, 북한에 추가 도발 자제와 국제의무 준수를 촉구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앞으로도 도발할 경우에는 ‘추가 중대조치’를 취하겠다는 경고도 담았다.
안보리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때마다 매번 언론성명 등으로 대응하지는 않았다. 또 언론 성명을 낼 때에도 회의소집 없이 문안을 회람한 뒤 발표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고려하면 이번에 안보리가 긴급회의를 개최하고 언론성명에 합의한 것은 안보리가 북한의 도발을 심각하게 간주한다는 뜻으로 읽힌다.
이에 앞서 유엔 주재 한국대표부의 조태열 대사는 니키 헤일리 미국 대사, 벳쇼 고로 일본 대사와 전날 통화를 하고 긴급회의 개최 필요성에 의견을 같이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한국과 미국, 일본 국방 당국은 14일 화상회의를 통해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긴밀히 공조하고 관련 정보공유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국방부가 밝혔다.
국방부는 “이 회의에서 미국은 한국과 일본에 대한 철통 같은 안보공약을 재확인했다”면서 “북한의 도발 행위에 대해 국제사회와 더불어 한일 양국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