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의 화학무기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파견된 유엔 군축 고위대표단이 24일 시리아에 도착한 가운데 4년 전, 시리아와 북한의 ‘화학무기 커넥션’ 정황이 포착됐다는 유엔 보고서가 나와 주목된다.
대표단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강력한 의지를 대변해 화학무기 사용 여부에 대한 시리아 정부의 조사 협력을 한층 압박할 전망이다.
로랑 파비우 프랑스 외무부장관은 “모든 정보가 시리아의 화학무기로 인한 대량학살을 증명하고 있다”면서 “바샤르 아사드 정권은 이에 대해 책임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리아 정부는 그러나 선발대로 와 있던 유엔 화학무기 조사단의 현장조사도 허용하지 않고 있다. 여기에 반군 터널에서 화학물질이 발견됐다며 화학무기를 사용한 건 반군이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유엔 대북제재 전문가들은 북한이 4년 전 시리아에 화학무기 관련 물자를 수출하려던 정황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제재위가 그동안 물자에 관한 정밀조사를 펼친 결과 최근 이같은 결과에 도달했다.
당시 북한이 부산과 그리스를 통해 방호복과 가스 검정용 앰풀을 시리아로 수출하려다 적발되는 등 양국 간 협력 관계가 드러난 것이다. 이와 관련 외교 소식통들은 “이번 유엔 측 방문으로 시리아의 화학무기 사용 여부 뿐만 아니라 북한과의 협력 여부도 밝혀질 것”이라며 북한과의 연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