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석유-식량 프로그램’ 비리에 연루됐다는 혐의를 받고 있는 모리스 스트롱 유엔 대북특사가 물러났다고 유엔이 18일 밝혔다.
마리 오카베 유엔 대변인은 이날 캐나다 출신 사업가인 모리스 스토롱 전 대북특사와 유엔의 계약이 지난 14일 만료됐으며 갱신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오카베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스트롱이 범죄 혐의로 고발된 것은 아니며 조사를 통해 의혹을 해소하면 유엔에 재고용될 수 있는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
스트롱 전 특사는 석유-식량 프로그램과 관련해 사담 후세인 정부의 돈을 받았다는 혐의를 받고 있는 한국인 로비스트 박동선씨와의 관계설로 조사를 받으면서 지난 4월20일 스스로 업무를 정지했다.
폴 볼커 전 미국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이끄는 석유-식량 프로그램 비리 의혹 조사위원회는 스트롱이 박씨와 사업상 교분을 인정한 후 그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박씨는 이라크 정부 의뢰로 석유-식량 프로그램과 관련해 유엔 관리들에게 로비를 벌인 혐의로 지난 4월 미 검찰에 기소됐다. 당시 기소장에는 박씨가 유엔 고위 관리의 아들인 익명의 캐나다인 사업체에 100만달러를 투자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이후 스트롱은 박씨가 자신의 아들이 대주주로 있는 석유회사에 투자했다는 사실을 시인했으나 이는 사업상의 관계일 뿐이라며 석유-식량 프로그램 연루설은 부인했다.
스트롱 전 특사는 직계가족을 고용할 수 없게 돼 있는 유엔 직원 규정을 위반하고 부녀관계를 숨긴 상태에서 의붓딸을 고용했다 발각되기도 했다.
스트롱 전 특사는 1970년부터 유엔의 환경,개발 부문에서 일해 왔으며 1997년에는 코피 아난 사무총장에 의해 유엔 개혁 특보로 임명됐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