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정부의 허가 없이 무단 방북해 104일만에 판문점을 통해 귀환한 노수희 범민련 부의장과 그의 방북을 도운 혐의를 받고 있는 범민련 사무처장이 지난주 구속됐다. 노 씨의 방북이 개인의 단독 결행이 아닌 범민련 차원에서 결행된 사건일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앞으로도 노 씨처럼 밀입북해 김정은 일가를 찬양하고 돌아오는 ‘종북 선동가’들이 계속해 나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노 씨는 판문점을 넘어오면서 북측을 향해 양손을 치켜 들고 환송단과 함께 마지막으로 “우리민족끼리 조국통일 만세”라는 구호를 외쳤다. 대다수 국민들은 어처구니 없다는 반응을 보이면서도 그러한 행동의 저변을 이해하기도 쉽지 않다. 돌이켜 보면 노 씨의 행동은 지난 4월부터 겪어온 통합진보당 경기동부연합의 행태와 맥이 닿아 있다. 다만 방법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을 따름이다.
노 씨는 이번 방북을 통해 자신의 종북 성향을 유감 없이 발휘해 북한 통치집단의 눈도장을 확실히 받겠다는 인상을 풍겼다. 북한 추종을 몸소 실천해 남한 반통일 집단의 허를 찌르겠다는 전략이다. 대신 통진당 경기동부연합은 자신들의 종북 성향을 가능한 숨기면서 진보정당의 다수를 장악해 정치세력화를 도모하는 집단이다. 행동은 범민련이 과격하지만 대한민국에 대한 위협의 정도는 경기동부연합이 훨씬 심각하다. 경기동부연합 입장에서 노 씨의 활동은 일종의 아마추어리즘으로 간주될 것이다.
노 씨의 방북 행적과 통진당 경기동부연합 사태는 우리 사회에서 종북세력이 무시하기 어려운 세력으로 성장해 있음을 보여준다. 3대 세습을 비롯해 북한의 전체주의적 행태에 침묵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국회의원이 한 둘이 아닐 정도다. 대신 이러한 사건들을 통해 국민들의 종북에 대한 경계심도 동시에 높아졌음도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 국민들이 최근 체감하는 종북에 대한 위기감에 비해 정치권의 대응은 한심하기 그지 없다. 대선 출마를 선언하기 위한 유력주자들의 이벤트가 한창이지만 애국가를 부정하고 탈북자를 배신자로 손가락질 하는 세력들에게 단호한 경고를 보내는 집단은 거의 없다. 오히려 한 민주당 대권주자는 이들에게 면죄부를 주고 연대의 대상으로 격상시켜 보려는 시도까지 하고 있다.
통진당과 노 씨 사태는 종북 문제에 대해 우리 사회에 위중한 경각심을 촉구하고 있다. 특히 정치권의 책임이 더욱 무겁다. 과거 민주화 세력의 유산으로 간주했던 친북행위가 사실은 북한 정권에 대한 추종행위로 귀결돼 집권 언저리까지 호시탐탐 노리고 있기 때문이다. 어설픈 종북시비가 불러올 역풍은 충분히 유의해야 하지만 북한에 대한 명백한 태도를 견지하지 않는 세력들에 대해서는 분명한 대책이 필요하다. 특히 야권 대선주자들은 종북주의자들이 진보의 지분을 통한 정권 참여 요구를 단호히 배격해야 한다. 정치권의 이석기, 김재연 의원 제명 추진은 종북 대책의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여야가 종북세력의 위험성을 공유하고 이들을 격리하기 위한 대책을 지속적으로 내놔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