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취임하면 아시아 강대국들과의 협력체제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북핵 6자회담을 지역기구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26일 제기됐다.
대선기간 미국진보센터(CAP)와 함께 오바마 당선인의 `싱크탱크’ 역할을 했던 브루킹스연구소는 이날 발간한 `변화된 세상 새로운 국제협력시대의 행동계획(A Plan for Action A New Era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a Changed World)’이라는 42페이지 분량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브루킹스연구소가 뉴욕대, 스탠퍼드대와 함께 지난 2년간 공동연구를 통해 마련한 이 보고서 작성에는 존 포데스타 오바마 정권인수 공동팀장을 비롯해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국무, 윌리엄 페리 전 국방장관, 스트로브 탤벗 브루킹스연구소장 등 미국내 전문가 16명과 하비에르 솔라나 유럽연합(EU) 외교정책 집행위원장 등 전 세계 전문가 17명이 참가했다.
보고서는 먼저 오바마 당선인이 취임과 동시에 직면하게 될 7대 위기로 북한을 비롯해 이라크, 이란, 아프가니스탄, 중동, 파키스탄, 다르푸르 문제를 꼽았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21세기에 미국을 비롯해 세계가 직면한 위기들을 해결하기 위해선 어느 때보다 국제협력이 요구된다면서 오바마 당선인에게 ▲미국의 리더십 회복 ▲국제기구 활성화 ▲전 세계적 위협 공동대처 ▲중동평화를 위한 공동 대응 등 4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이어 보고서는 기존의 세계 주요 8개국(G-8: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 캐나다, 러시아)만으로는 세계적 위기를 해결할 수 없다며 G-8에다 5대 신흥국(중국, 브라질, 인도, 멕시코, 남아공) 및 지역대표성을 보완하기 위한 3국(인도네시아, 터키, 이집트 또는 나이지리아 등이 참가하는 G-16으로 확대할 것을 주장했다.
보고서는 특히 국제협력을 활성화하는 방안으로 지역기구를 강화할 것을 제안하면서 차기 미국 대통령은 아시아에 대한 개입확대전략 차원에서 아시아 강대국들과의 협력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아세안(ASEAN)이나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6자회담 등과 같은 지역안보체제에 정책과 자원을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북핵 6자회담이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이라고 언급해왔던 오바마 당선인이 취임 후 6자회담을 동북아 지역의 지역안보기구로 발전시킬 지 주목된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