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간당원제 폐지’ 당헌 개정안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이 받아들여진 후 ‘탈당’과 ‘2∙14 전당대회 무용론’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열린우리당이 사분오열되고 있다.
당 진로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는 통합신당파와 사수파 양측에서 전당대회 무용론 또는 전당대회 보이콧이 거론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당대회가 열리더라도 ‘반쪽짜리 전대’로 전락하거나 아예 무산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법원의 효력정지 결정 이후에도 당 지도부가 29일 중앙위원회를 소집, 기간당원제 폐지와 기초당원 및 공로당원제 도입을 골자로 하는 당헌 개정안을 관철한다는 방침을 세움으로써 전대 무용론을 더욱 확산시키고 있다.
당헌개정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을 냈던 기간당원들은 중앙위가 당헌 개정안을 재의결할 경우 또 다시 가처분 신청을 내겠다는 입장을 밝혀, 신당파와 사수파간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당내 가장 큰 계파를 형성하고 있는 정동영 전 의장이 21일 ‘탈당’ 가능성을 시사한 반면, 김근태 의장은 ‘탈당은 책임 방기’라며 반발해 ‘통합신당’에 합의했던 두 수장간의 불협화음으로 열린당의 분열은 한층 가열될 조짐이다.
정동영 “통합신당 좌초되면 결단 각오” 탈당 시사
정동영 열린당 전 의장은 21일 통합신당 추진과 관련, “소수 모험주의자에 의해 좌초된다면 저를 포함해 많은 사람들이 결단을 각오하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 의장은 이날 자신의 지지모임인 ‘정동영과 통하는 사람들’(정통) 출범식에 앞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어제 비대위의 결정은 마지막 비상구”라며 “자신은 분열 없는 통합의 길을 가고자 노력해 왔으나, 소수 개혁 모험주의자들의 지분정치, 기득권 지키기가 계속된다면 같이 갈 수 없다”고 밝혔다.
이 같은 발언은 경우에 따라 탈당도 불사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정 전 의장은 “사수파들이 정당의 문제를 법원으로 끌고 간 것은 해당행위이며, 끊임없이 기득권을 지키려는 것은 또 다른 수구 기득권”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반면, 김근태 의장은 21일 “현 시점에서 탈당을 거론하거나 직무에 대한 책임을 방기하는 것은 민주주의자가 취할 태도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의장은 발언은 정동영∙천정배 등 창당 주역들의 탈당 시사를 비판한 것이다.
김 의장은 이날 당원들에게 보낸 ‘어려울수록 큰길을 가야 합니다’라는 편지에서 “당내 일각의 무책임한 문제제기에 대해 타협하지 않겠다는 점을 분명히 말씀 드린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장은 “당내 토론과 협의를 거쳐 만든 ‘정치적 합의’가 법원에 의해 무효화되는 것을 지켜볼 수만은 없다”며 당헌 개정을 재추진할 의사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