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당국간 전시작전통제권 환수에 대한 원칙적 합의가 이루어진 가운데 여야 의원들이 ‘전작권 환수 반대’모임을 구성할 예정이어서 파장이 예상된다. 일부 여당 의원들은 당내에 환수반대 독자 모임을 만들 계획이다.
김대중 정부에서 국방장관을 지낸 조성태 열린우리당 의원은 22일 국회의원 139명이 참가한 ‘북한 핵 해결 전 전시작전 통제권 이양 반대 국회의원 모임’ 결성 기자회견에 한나라당 의원들과 함께 참석했다.
조 의원은 이후 기자들과 만나 “당 내의 전작권 환수 반대 의원들은 별도의 조직을 추진중”이라고 밝혔다. 이 모임에는 같은 당 변재일, 양형일, 박상돈 의원 등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조 의원은 ‘왜 다른 열린당 의원들은 의원모임에 참여하지 않고 독자 모임을 구성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야당과 함께 할 경우) 최근 당내의 정계개편 움직임과 맞물려 자칫 오해를 유발할 소지가 있다는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우리당과 야당을 분리해 별도의 모임을 결성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황진하, 김송자, 조성태 의원 등은 “작통권 이양은 이양시기 합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이양을 위한 상황적 여건의 조성이 중요하다”면서 “한반도 전쟁방지 여건이 조성된 이후에 추진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앞으로 김송자 의원과 함께 공동의장으로 활동할 황진하 의원은 어제 노무현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해 “안보를 어떻게 하려는 분인지 전작권이 어떤 내용인지 정확히 알고 하는 것인지 답답하다”고 비판했다.
모임에는 열린당 1명, 한나라당 121명, 민주당 10명, 국민중심당 5명, 무소속 2명 등 총 139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향후 ▲북한 핵 해결 전 전시작전통제권 이양 반대 결의안 제출 ▲미국 정책결정자 접촉 및 설득 ▲토론회 및 대 국민 홍보활동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