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현지시간) 열린 한반도 긴장 사태와 관련 유엔 안보리이사회 긴급회의가 한반도 긴장의 책임 소재를 놓고 이사국들 간의 이견으로 성명 채택이 무산됐다.
이날 오전 회의에 이어 약 한 시간의 휴식시간을 가진 뒤 오후에 속개됐으나 결국 한반도 긴장 완화에 대한 미국, 영국 등과 중국, 러시아간의 견해차가 커 성명을 채택하지 못했다.
이날 회의에서 러시아가 제안한 의장성명 초안을 놓고 검토작업을 벌인 결과, 14개 이사국이 북한의 연평도 포격을 비난하는 내용을 성명에 담자는 데 동의했지만, 중국의 반대로 끝내 어떤 결론도 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는 북한의 책임 명기에는 유연한 태도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회의에는 남북한 대표를 참석시켜 입장을 개진토록 했다. 한국의 박인국 유엔대사는 “연평도 포격 훈련 계획은 한국 영해에서 이뤄지는 자위권 차원의 정당한 훈련”이라고 말했고, 신선호 북한 대사는 “연평도 포격 훈련은 도발행위이며 훈련이 실제로 행해지면 이에 군사적 대응을 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의에서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은 민간인 지역인 연평도를 포격한 북한에 1차적인 책임이 있다는 입장인 반면, 중러는 한반도 상황이 더욱 악화되지 않기 위해 한국이 해상사격훈련을 취소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러시아는 회의 소집을 요구하면서 한국과 북한 양측에 대해 이 지역에서 상황을 추가로 악화시킬 수 있는 어떤 조치도 피해야 하며, 최대한도로 자제할 것을 촉구한다는 내용의 성명 초안을 마련해 안보리 회원국들에 배포했다.
특히 초안에는 현 상황을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남북 양측에 지체없이 특사를 파견토록 요청한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반면 영국은 연평도 공격에 대해 북한을 비난하고, 천안함에 대해서도 언급한 안보리 입장 수정안을 내놓고 오후에도 이 안을 놓고 토의했다. 한국도 영국이 제안한 수정안이 안보리에서 채택될 경우 수용가능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정부 당국자는 “긴급 회의 결과를 예단하기 어렵지만 안보리 의장 성명이 나오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만약 의장 성명이 나오더라도 문안이 합의돼야 하기 때문에 여러번 회의를 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